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2.17 19:05 수정 : 2012.02.17 19:05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의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이 한국전력과 발전자회사들에 종합편성채널 <티브이(TV)조선>의 한 드라마에 협찬을 하도록 사실상 압력을 넣은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 정부 관계자들이 ‘종편 살리기’에 공공연히 나선 사례는 있었으나 여당 의원까지 연루된 스캔들은 이번이 처음이다. 종편 출범을 계기로 권언유착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한전과 자회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권성동 의원은 지난해 종편 출범을 앞두고 한전 등의 임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티브이조선의 창사특집극으로 방영될 <한반도>에 협찬 검토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적자누적으로 예산절감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도 한전 1억원, 6개 발전자회사들은 4000만원씩 분담해 모두 3억4000만원의 협찬 계약을 맺었다고 한다.

권 의원 쪽은 협찬을 강요하지 않았다고 주장할지 모르겠다. 또 ‘한반도 드라마가 에너지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그럴듯한 협찬 명분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전과 자회사들의 협찬은 누가 보더라도 자발적으로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 우선 국회 상임위의 여당 의원이 피감기관의 임원들을 모아놓고 특정 상업방송의 협찬 얘기를 꺼내는 것 자체가 부당한 압력이다.

이런 정황은 발전사 관계자들이 한결같이 후환이 두려워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수 없다고 전한 데서 확인된다. “상임위의 여당 의원이 칼을 휘두르고, 조선일보가 긁어버려 회사가 만신창이가 되는 상황이 두려웠다”고 말한다.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합작 보복이 두려웠다는 얘기다. 한반도의 시청률은 겨우 1% 남짓이다. 상식적인 판단이라면 대외 인지도 개선 효과가 거의 없는 드라마에 어느 공기업이 거액을 협찬할 수 있겠나?

외압에 따른 협찬이라지만 한전과 발전자회사 임원들의 무책임한 태도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한전은 2008년 이후 4년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자회사까지 포함한 연결손익의 누적적자가 4조원을 넘어섰다. 원료비 부담이 커졌으나 정부의 물가억제 정책에 따라 요금을 현실화시키지 못한 탓이다. 한전의 적자는 언젠가 국민 전체의 부담으로 돌아온다. 그렇다면 한전 경영진은 불요불급한 지출을 없애는 등 영업수지 개선에 더욱 힘써야 할 책임이 있다. 종편 협찬 외압에 협조한 임원들은 결국 배임을 한 셈이다. 소관부처인 지식경제부나 감사원이 자세한 내막을 조사해 연루된 임원들은 징계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