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2.27 19:09 수정 : 2012.02.27 19:09

민주통합당의 4·11 총선 후보 경선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최악의 불미스런 사고가 터졌다. 그제 광주 동구의 한 건물에서 ‘박주선 예비후보를 위해 공무원들이 대리등록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제보를 받은 선관위 직원들이 들이닥치자, 동장 출신의 조아무개씨가 옥상에서 뛰어내려 숨졌다. 경위야 어쨌든 과열 경선이 빚은 비극이다.

민주당은 지난 1월 통합전당대회에서 모바일 참여 열기를 이끌어냄으로써 한국 정치를 한 단계 도약시켰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4·11 총선 후보자 경선에 모바일투표를 도입한 것도 돈을 절약하면서 시민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제도를 뿌리내리자는 취지였다. 실제로 민주당이 전당대회 뒤 비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현장투표는 3만5000명 참가에 4억7000여만원이 든 데 견줘 모바일투표는 47만8385명에 6억7000여만원이 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비용이 모바일 1300원, 현장투표 1만3400원으로 10분의 1의 비용으로 14배의 참여를 이끌어낸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모바일 효과에만 급급한 나머지 철저한 경선 관리나 지역적 특성 분석엔 큰 신경을 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선거구마다 일률적으로 모바일 또는 직접 투표로 선거인단을 모집하도록 하되, 선거인단 모집이 전체 유권자의 2% 미만일 경우에만 여론조사를 30% 반영한다는 게 사실상 경선규칙의 전부이다. 이 때문에 모바일 사용자가 적은 시골이나, 경선이 곧 당선을 예약하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직접 투표 선거인단을 경쟁적으로 확보하려는 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치열한 경쟁이 뻔히 예상되는 곳에 감시단을 파견하는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민주당 한쪽에선 ‘모바일 선거만이 최고’라는 생각을 재고해야 한다는 등 모바일 경선 자체의 의미나 성과마저 후퇴시키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안 될 말이다. 우선 사고를 엄정하게 처리한 뒤, 관리를 강화해 ‘돈은 적게 들되 참여는 높이는’ 모바일 경선의 취지를 더욱 살리는 길을 찾아야 한다.

민주당 지도부는 어제 즉각 해당 지역의 공천 심사와 경선 진행을 중단하고 진상조사단을 파견했다. 철저한 조사를 진행하고 결과에 따라 엄정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다짐했다. 엄포에 그치지 말고 후보 자격 박탈과 같은 강력한 조처가 나와야 할 것이다. 민주당은 이번 사건의 엄정한 처리와 철저한 선거관리에 당이 선거혁명으로 내세우는 모바일 경선의 승패가 달려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