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2.28 19:21 수정 : 2012.02.28 19:21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친이계의 좌장 노릇을 해온 이재오 의원이 4·11 총선 공천자로 확정된 것을 놓고 새누리당이 떠들썩하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은 어제 “당이 인적쇄신을 해야 하는데 공천 방향이 기본적으로 잘못됐다”고 비판하면서 비대위 사퇴 의사까지 밝혔다.

‘개혁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김 위원이 사퇴까지 고민하도록 만든 원인제공자는 역설적으로 그를 영입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다. 이 의원의 공천 확정은 사실상 박 위원장의 뜻이 반영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김종인 위원이 “박 위원장의 태도가 굉장히 모호하다”고 불만을 토로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사실 이재오 의원에게 공천을 주느냐 마느냐는 새누리당 공천의 기본 성격을 규정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다. 겉으로는 시스템 공천이니 객관적 공천심사 기준 적용이니 말하지만 실제로는 고도의 정치적 판단이 작용할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이 대목에서 박 위원장은 쇄신보다는 분란 방지를 선택했다. 이 의원을 탈락시킬 경우 예상되는 당내 친이계의 반발과 당내 갈등, 정치보복 따위의 비판을 감수하기보다는 차라리 공천을 주고 끝내겠다는 계산이 작용한 것이다. 앞으로 대선 국면에서 친이계의 도움을 염두에 둔 정치적 포석의 성격도 짙다. 좋게 말해 ‘화합 공천’이지만 ‘쇄신 공천’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

국외자의 처지에서 박 위원장의 판단이 옳다 그르다 말할 형편은 못 된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박 위원장은 이제 ‘과거와의 철저한 단절’ 등을 말할 자격은 잃었다는 점이다. 이재오 의원이 누구인가. 지난 4년간 사실상 정권의 2인자 노릇을 하며 이명박 정권을 이끌어온 핵심 중의 핵심이다. ‘4대강 전도사’를 자처하며 온갖 무리수를 무릅쓰고 4대강 사업을 밀어붙인 것을 비롯해 각종 정책과 인사에서 이 대통령의 뜻을 충실히 관철해온 선봉장이기도 하다. 이 의원의 공천은 바로 이 대통령의 지난 4년을 추인하는 의미를 지닐 수밖에 없다.

박 위원장은 야당에서 제기하는 ‘이명박 정부 심판론’에 대해 오히려 ‘야당 심판론’으로 역공을 가하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야당 지도자들의 과거 발언 등을 문제 삼은 것이지만 그 밑바탕에는 이명박 정부는 스스로 단절·심판하고 나가겠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다. 하지만 이런 큰소리는 무색해졌다. ‘단절’은커녕 오히려 ‘계승’으로 나가고 있는 것이 지금의 새누리당 모습이다. 박 위원장은 더는 과거와의 단절 따위의 말을 입 밖에 내지 말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