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민주당, 공천쇄신·야권연대 이대로는 안된다 |
강철규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위원장이 어제 “당이 좀더 겸허해지고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공천심사 잠정중단을 선언했다. 한명숙 대표가 “공심위의 지적을 수용한다”며 “더 낮은 자세로 일하겠다”고 밝힘으로써 일단 봉합되는 분위기다. 이번 일은 최고위원회와 공천심사위 사이의 갈등 등 내부 문제가 계기가 됐다고는 하나 민주당에 여러가지 숙제를 던져주고 있다. 특히 쇄신공천과 야권연대 모두 지지부진한 상태라는 점에서 민주당에는 뼈저린 각성이 절실하다.
<한겨레>를 비롯한 여러 여론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그동안의 공천 과정에서 여야 모두 문제가 있었지만 민주당의 잘못이 더 도드라져 보인다. 강 위원장과 백원우 공천심사위원은 쇄신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민주당이 어려웠던 18대 총선에서 당선된 사람은 그만큼 경쟁력이 있더라”며 “수도권 110개 지역구 중에서 현역 의원은 27명에 불과”하다는 점을 들어 물갈이의 한계를 토로했다. 터무니없는 얘기는 아니지만 야권 지지층의 기대와는 거리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임종석 전 의원을 사무총장에 임명한 데 이어 공천까지 주고, 경선을 앞두고 매표 의혹과 함께 투신자살 사고까지 터지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이 줄지어 터지는데도 이렇다 할 쇄신책이 안 보인다. 정당 지지율이 새누리당에 다시 뒤지고 있는 것도 다 이런 것들이 하나하나 쌓인 결과다.
쇄신 실패는 새 인물 수혈이 안 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미 시민단체 인사들이 통합 과정에서 대거 들어와 새 인물 찾기가 난망하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정치는 유권자를 보고 하는 것이니 그 눈높이에 부응할 줄도 알아야 한다. 최근 여성 법조인을 2명 영입한 것 말고는 이렇다 할 영입 성과물도 보이지 않는다. 지도부의 책임이다.
야권연대와 관련해 야권연대 실현을 위한 비상시국회의가 며칠 전 공천 중단과 시민사회 중재에 응할 것을 요구한 데 이어 어제 촛불집회를 열었다. 연대 협상이 순조로우면 시민사회가 나설 일이 없겠지만 상황은 그렇지 못한 모양이다. 통합진보당이 결렬을 선언하는 상황인데도 교착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결국 협상은 민주당이 양보하는 수밖에 없는데 당내에서 이를 관철할 리더십이 부족한 게 문제다. 상대방 생각은 않고 자기들 주저앉히기 쉬운 곳만 양보카드로 내밀면 타협이 힘들다. 이러면 시민사회가 중재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
공천쇄신과 야권연대 모두 이 상태로는 더이상 안 된다는 점을 민주당 지도부는 명심하기 바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