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여야, ‘국민 눈높이’ 공천혁명 한다더니 |
4·11 총선이 한달 남짓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 후보자 공천의 큰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새누리당은 어제 서울 종로를 비롯해 81곳의 단독 공천자 명단과 경선 지역 47곳, 전략공천 지역 13곳 등 2차 공천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1차 22곳에 이은 전략공천 13곳은 현역 의원의 교체와 상당수 겹치는 곳이다. 당 지도부가 전략 지역을 지역구의 20%인 49곳, 현역 교체를 25% 정도 한다는 방침이어서 현역 탈락은 앞으로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민주통합당도 같은 날 최대 관심지인 호남지역 공천 결과를 발표했다. 29명의 현역 의원 중 관료 출신과 다선 의원을 중심으로 6명을 탈락시켰다. 이미 불출마를 선언한 2명과 수도권으로 출마 지역을 옮긴 4명의 의원, ‘투신자살 사건’으로 무공천 지역으로 결정한 광주 동구까지 포함하면 44.8%의 현역 의원 교체 비율이다. 여기에 경선 지역에 포함된 12명의 현역 의원까지 계산하면 교체율은 50%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양당 모두 탈락자들의 항의와 반발, 탈당 등의 여진에 시달리겠지만, 이날 발표로 공천 과정의 큰 산은 넘은 셈이다.
탈락자들의 불만과는 별도로, 공천 과정에서 여야 지도부가 제시했던 원칙과 기준이 지켜졌는지는 의문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과거와의 단절’이라는 대원칙 아래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시스템 공천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정체성 공천이고, 우리는 도덕성 공천’이라는 자랑도 했다. 하지만 이재오 전 특임장관은 공천하고 그의 ‘입’인 진수희 의원은 배제한 것만 봐도 이런 원칙보단 대선을 염두에 둔 전략적 술수로밖에 읽히지 않는다. 18대의 친박 학살이 19대에선 친이 학살로 바뀌었을 뿐이라는 소리도 높다.
한명숙 민주당 대표는 전략공천을 최소화하고 완전 국민경선으로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줘 공천혁명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첫 단추인 사무총장 임명부터 국민 눈높이에서 벗어나더니 486에 특정 대학 인맥만 챙긴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모바일선거의 의미만 강조하고 준비엔 소홀해 불미스런 일을 자초하기도 했다. 공천 경쟁에서 새누리당에 뒤진다는 말도 공공연히 나온다.
이제 몫은 유권자에게 돌아왔다. 어쨌든 정당의 공천은 그들이 시장에 내놓는 상품에 불과하다. 진열대의 화려한 조명에 현혹되지 않고 제대로 된 상품을 골라내는 선구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공천혁명, 선거혁명의 최종 완수자는 다름 아닌 유권자임을 명심하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