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한명숙·임종석, 결자해지의 결단 내려야 |
민주통합당의 지지율이 추락하고 있다. 최근 나오고 있는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1월 통합 전당대회 이후 반이명박 바람을 타고 상승세를 타던 기세가 확연하게 꺾였다. 한때 추월했던 새누리당에 재역전당했다는 조사 결과는 이제 뉴스도 아니다. 이런 민심 이반 현상은 믿었던 수도권과 젊은층에서 두드러진다. ‘통합 효과를 석달 만에 다 까먹었다’는 얘기가 나올 만하다. 이런 추이라면 한달 앞으로 다가온 4·11 총선에서 과반 의석은커녕 130석도 건지기 어렵다는 경고음이 당 안에서도 제기됐다고 한다.
온라인 민심을 주도하는 트위터에서도 ‘오만하다’ ‘실망스럽다’ ‘방자하다’는 부정적 서술어가 민주당과 관련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정치는 생물’이라는 말, ‘민심이 무섭다’는 말이 있다. 눈에 보이지 않고 허술한 것 같지만 미세한 움직임도 놓치지 않고 잘잘못을 준엄하게 가리는 게 민심이란 걸 절감한다.
석달 전의 기대주가 실망주로 전락한 가장 큰 책임은 한명숙 민주당 지도부에 있다. 한명숙 대표는 대표 수락 연설에서 “국민이 원하는 혁신과 변화를 하겠습니다”라고 약속했다. 과감한 인적 쇄신, 시민 참여와 소통도 강조했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의 첫 단추인 사무총장 인사부터 잘못 끼웠다. 공천작업을 책임지는 자리에 비리 혐의로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임종석씨를 임명한 것이다.
검찰의 무리한 수사로 기소되어 두 차례나 무죄판결을 받은 한 대표가 인사를 통해 검찰 개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현하겠다는 뜻은 이해할 만하다. 그동안 정치검찰이 해온 행태를 보면, 보좌관 개인의 비리까지 본인이 지고 가야 하느냐는 임 사무총장 쪽의 항변도 일리가 없지는 않다. 무죄추정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는 말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법률의 세계와 정치의 세계는 엄연히 다르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개혁을 한다더니 가장 중요한 자리에 비리 혐의자를 앉히냐’, ‘오만의 극치 아니냐’는 게 민심의 실체이다. 더구나 공천 과정에서 같은 비리 혐의자에 대해 잣대를 달리 적용한 것이 민심을 더욱 악화시켰다. 오죽했으면 문성근 최고위원이 나서서 엉킨 실타래를 풀려고 하지 말고 단번에 잘라내라고 했겠는가.
이제 공은 한 대표와 임 총장에게 넘어갔다. 두 사람은 결자해지 차원에서 ‘오만한 민주당’의 족쇄를 풀어야 한다. 임 총장은 스스로 공천을 반납하고 백의종군하는 결단을 내리기 바란다. 한 대표도 뼈저린 자성과 함께 다시 민심의 바다로 내려가겠다는 결의를 보여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