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3.15 19:14 수정 : 2012.03.15 19:14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그제 중국 전역에 생중계되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 기자회견에서 “긴급한 정치개혁이 없으면 문화대혁명 같은 역사적 비극이 다시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원 총리는 현 중국 지도부의 개혁파를 대표하는 인물로, 수년간 한결같이 정치·경제 개혁을 촉구해온 인물이다. 이런 점에서 그의 발언 취지 자체는 새삼스러운 게 아니다.

하지만 그가 중국 지도자들이 금기시해온 ‘문화혁명’이란 단어까지 끄집어내어 개혁을 촉구했다는 점, 총리로서 마지막 전인대 폐막 회견에서 작심하고 발언을 한 점에서 긴박성과 진정성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차기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가장 껄끄러운 문제로 떠오른 보시라이 충칭시 서기 처리에 대해서도 공개적으로 반성을 촉구했다. 중국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통한 눈부신 성장을 이뤘지만, 그 과정에서 쏟아져 나오는 부패, 민주화 요구, 빈부격차를 해소해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지금이 바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중국의 미래가 결정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원 총리의 강력한 개혁 촉구 발언이 있고 난 뒤 보 서기가 즉각 해임된 것을 보면, 원 총리의 발언이 지도부 안의 갈등 표출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차기 지도부의 노선과 인선이 지도부 안의 조율을 통해 개혁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시진핑 부주석이 이끌어갈 제5세대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중국 지도부 안에서는 치열한 노선 다툼이 있었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이른바 신좌파인 보시라이의 ‘충칭모델’과 개혁파인 왕양의 ‘광둥모델’의 대결이다. 이런 점에서 보 서기의 실각은 일단 중국에서 시장주의적 개방체제를 강화하는 세력이 힘을 얻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개혁파의 최종적인 승리인지는 지켜볼 여지가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경제·문화뿐 아니라 외교·안보 문제에서도 매우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무역 비중에서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북한 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문제에도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정부 당국은 이웃 나라 내부의 일이라고 방심하지 말고, 중국의 향방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대처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