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26 10:23 수정 : 2005.08.25 20:30

국가정보원 과거사진실위원회가 지난주 ‘부일장학회 강제헌납’ 사건과 ‘경향신문 강제매각’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결과를 발표한 이후 장학회의 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위원회는 박정희 정권이 국가정보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를 앞세워 고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를 빼앗아 <부산문화방송>과 <한국문화방송>, <부산일보>의 지분을 5·16 장학회로 넘겼다고 밝혔다. 정권에 비판적이던 <경향신문>을 강제로 팔게 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런 조사 결과의 의미는 크다.

두 사건은 모두 독재권력의 언론장악 음모에서 비롯한 일이다. 특히 부일장학회의 경우 사기업을 무리하게 빼앗아 권력자가 사실상 사유화한 것으로서, 죄질이 더욱 나쁘다. 부일장학회는 5·16 장학회를 거쳐, 정수장학회로 변신한 이후 박 전 대통령의 후손과 옛 측근들이 지배해 왔다. 이는 장학회가 지배한 언론이 제구실을 못하게 하는 족쇄가 됐다. 지금도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지분 100%와 <문화방송> 지분 30%를 갖고 있어, 두 언론사의 지배구조에 결정적인 열쇠를 쥐고 있다. 유족들이 소유권 회복을 꾀할 수 있음에도, 그것보다는 장학회가 정상화되길 바란다니 다행이다.

정수장학회를 진정한 공익재단으로 거듭나게 하는 것은 잘못된 과거를 바로세우는 일이다. 사회의 공기인 언론이 제구실을 할 수 있게 하는 길이기도 하다. 정수장학회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올해 초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지난 10년 동안 맡아온 이사장직을 그만뒀다. 하지만 당시 임명된 이사들이 여전히 장학회 운영을 좌우하고 있어 정상화와는 아직 거리가 멀다. 우선 이들이 모두 물러나고, 신망받는 인사들로 이사진이 전면 개편돼야 한다. 그 과정에서 김씨와 유족들의 명예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