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4.18 19:23 수정 : 2012.04.19 15:35

각기 성추행과 논문 표절 의혹으로 당 안팎에서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의 김형태(경북 포항남·울릉), 문대성(부산 사하갑) 19대 의원 당선자가 어제 서로 엇갈린 행보를 했다. 숨진 동생의 부인을 겁탈하려고 했다는 김 당선자는 자진 탈당을 선택했고, 문 당선자는 박사학위를 수여한 국민대의 표절 심사를 지켜보겠다며 버텼다. 하지만 두 사람한테서 자성이란 눈곱만치도 찾아볼 수 없었다. 오직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충성심만 엿보였다. 이들의 행태를 보면, 새누리당이 박근혜 사당체제로 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김 당선자는 그 이전까지 자신은 결백하다고 주장했고, 박 위원장도 몇 차례나 법적 공방을 지켜보자는 태도를 고수했다. 하지만 녹취록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녹취록의 목소리와 김씨의 목소리가 거의 일치한다는 결과가 나오자, 탈당이란 우회로를 택했다. 당의 책임은 털어내면서 의원직은 유지하겠다는 속셈일 것이다. 실제, 김씨는 탈당 보도자료를 통해 당과 박 위원장에게 누를 끼치지 않기 위해 떠나지만 빠른 시일 안에 복귀해 박 위원장의 정권 재창출을 돕겠다고 밝혔다. 어쨌든 법적 결과를 지켜보자며 그를 감싸는 듯한 태도를 취했던 박 위원장으로선 체면을 구기게 됐다.

문 당선자의 태도는 더욱 황당하다. 그는 ‘국민대의 결론을 지켜본 뒤에 당의 입장을 정하겠다’는 박 위원장의 말을 거론하며 “제가 박 위원장에 반하는 행동을 해서 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교수인 자신의 표절 논문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정세균 당선자의 표절 문제를 끌어들이는 것도 치졸하다. 기자들의 질문공세에 ‘기자들이 이렇게 페어플레이가 없느냐’고 일갈까지 했다니 어이가 없다. 당도 더이상 방어가 어렵다고 보고 급히 출당을 하기로 한 모양이다.

박 위원장과 새누리당은 이 문제를 탈당이나 출당으로 얼렁뚱땅 수습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이들이 당을 떠나도 결자해지 차원에서 새 국회가 열리면 반드시 윤리위원회를 열어 제명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문제의 인물을 공천한 최소한의 의무다. 대선에서 불리하니 유리하니, 과반이 깨지니 안 깨지니 하는 정략적 차원에서 접근해선 안 된다. 나라를 대표하는 선출직 공직자의 품위에 관한 문제로 봐야 한다. 혹시 두 사람을 자진 탈당하게 해 사실상의 당 외 원군으로 삼겠다는 발상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당장 포기하는 게 좋을 것이다. 국민은 어리석은 것 같지만 하나도 빼놓지 않고 지켜보고 있다는 걸 명심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