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표절당’ 오명 자초한 새누리당 |
4·11 총선 당선자들의 학위논문 표절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새누리당을 탈당한 문대성 당선자(부산 사하갑)에 이어 같은 당의 유재중 당선자(부산 수영), 염동열 당선자(강원 태백·영월·평창·정선), 신경림 비례대표 당선자까지 논문 표절 의혹이 꼬리를 물고 있다. 이대로라면 또다른 표절 논란이 불거지지 말란 법도 없다. 학력 포장용으로 어물쩍 박사학위를 주고받는 일부 지도층 인사들의 부도덕한 관행이 철퇴를 맞고 있는 셈이다.
새로 표절 의혹이 불거진 유재중 당선자의 경우 2010년 부산대 박사학위 논문이 문제가 됐다. 2007년 발표된 다른 논문의 단락들을 통째로 옮기거나 짜깁기한 흔적이 곳곳에서 나타났다. 원문의 출처를 표시하지 않은 채 문장 오류나 오탈자까지 그대로 베껴 쓰는 ‘복사기’ 수준의 표절도 있었다고 한다. 유 당선자는 총선을 전후해 성추행 논란에도 휩싸였다. 그에게 성추행을 당했다는 여성이 국회 앞에서 1인시위까지 벌이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염동열 당선자는 지난 2월 받은 국민대 행정학 박사학위 논문이 2005년 <행정논총>의 한 논문과, 2007년 학부생들의 리포트 내용을 일부 짜깁기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학교수인 신경림 당선자는 2004년 한 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이 그로부터 3년 전 자신이 지도한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과 제목은 물론 연구 목적과 방법, 결론까지 거의 유사하다는 보도가 나왔다. 민주통합당의 정세균 전 대표에 대해서도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이번 표절 논란 와중에 새누리당 당선자들이 유독 검증 대상에 많이 오른 건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제수 성추행 논란으로 탈당한 김형태 당선자(경북 포항남·울릉)에게는 어제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새누리당으로선 차떼기당에 이어 표절당, 성추행당이란 비아냥을 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됐다. 문제가 된 새누리당 당선자 대부분이 당선이 수월한 영남 지역구 출신이라는 점에서 검증 없는 제 식구 감싸기식 공천이었다는 비난도 면하기 어렵다. 시시비비를 가려 당 차원의 엄중한 조처가 필요한 이유다.
문대성·염동열 두 당선자의 박사학위 논문이 문제가 된 국민대에선 어제 일부 강사와 학생들이 학교 당국의 각성과 함께 두 당선자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탈세와 마찬가지로 표절은 도덕적으로 용납되기 어려운 엄중한 범죄이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도덕 불감증을 치유하기 위해서라도 표절 의혹들을 낱낱이 밝히고 책임을 엄히 물어야 할 것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