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4.29 20:08 수정 : 2012.04.29 20:08

한 탈북자의 신상이 언론에 구체적으로 보도되는 바람에 북한의 가족이 우리의 국가정보원 격인 보위부에 불려가 조사를 받는 등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관련 정보를 공개한 국정원 쪽은 “사업 범위 안의 공개”라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해당 기자도 “그 기사 때문에 그런 피해가 발생했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탈북자 신상 공개로 가족들이 고통을 겪는다는 게 새삼스런 얘기가 아닌데도 여전히 그런 일이 반복되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탈북자 문제는 가족들의 생명과 안전이 걸려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신중하게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난달 26일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주석의 회담 이후 베이징 영사관에 머무르던 탈북자들이 국내로 들어오는 등 경색국면이 풀릴 조짐도 있었으나 여전히 근본적 해결은 되지 않고 있다. 이번 사건의 경우 국정원에서 탈북자 ㄱ씨에 대한 1차 신상조사가 시작된 지 7일과 15일 만에 한 언론에 탈북 소식이 보도돼, 실종으로 돼 있던 그의 탈북 사실이 확인되는 바람에 가족들이 조사를 받은 뒤 어디론가 사라졌다고 한다. ㄱ씨는 거액을 주고 북의 가족과 통화하면서 이 사실을 알았고, 가족들이 교화소나 수용소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심각한 심적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탈북자 문제를 알림으로써 국내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촉구하는 것은 물론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탈북자 북송 반대운동이 갖는 긍정적 측면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좀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정부의 몫일 수밖에 없다. 우리 정부는 1999년에 한국행을 원하는 탈북자는 전원 수용하겠다고 밝히면서 대신 탈북을 유도하거나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함께 천명한 바 있다. 이런 원칙에 따라 중국과 물밑 접촉을 통해 수많은 탈북자를 한국으로 데려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 한-중 관계가 껄끄러워지고 남북관계도 경색되면서 탈북자의 귀국도 급감하기 시작했다.

탈북자 강제북송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시위나 단식 등 직접 행동에 나선 것은 그만큼 정부가 자기 몫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더구나 모든 것을 걸고 탈북을 감행한 북한 주민들이 우리 당국의 무신경한 업무처리로 고통을 겪는다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가 져야 한다. 이번 사건에 대해서 정부는 철저한 경위 조사를 해야 한다. 더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조처하는 것은 물론 책임질 일이 있다면 책임을 물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