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4.29 20:09 수정 : 2012.04.29 23:43

총선 패배 뒤에도 민주통합당의 답답증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총선 와중에 제대로 된 방향타 없이 이리저리 쓸려다니더니, 이번엔 차기 지도부 선출을 놓고 갑론을박이다. 이해찬 상임고문과 박지원 최고위원이 각각 당대표와 원내대표를 나눠 맡는다는 이른바 ‘투톱’ 역할분담론은 제대로 된 준비 없이 분란만 키운, 종전의 덜컥수를 되풀이한 것이다.

이른바 ‘담합이냐 단합이냐’는 논란을 불러온 이번 파동은 무엇보다 추진 절차에 문제가 있었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리더십을 구축하기 위해 각각 친노와 비노의 실력자 격인 두 사람이 역할을 나눠 맡는다는 구상인데, 민주주의적 선출 과정에 대한 고려가 뒷전으로 밀려났던 것이다. 당원과 지지자들의 의사가 반영될 통로가 봉쇄됐고, 127명의 국회의원 당선자들에게는 줄세우기를 강요하는 꼴이 돼버렸다. <한겨레>가 어제 민주당 당선자들에 대해 실시한 전수조사 결과(전화연결 안 된 13명 제외) 부정적 52명, 긍정적 31명, 판단 유보가 31명으로 나온 것도 이를 반영한다. 투톱 구상이 당내의 친노-비노, 호남-영남 대립구도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는데, 이것도 단견이다. 계파 정치 극복은 계파를 뛰어넘는 인물과 정책을 구현함으로써 가능한 것이지, 계파 대표끼리 주요 자리를 나눈다고 이뤄지지는 않는다.

투톱 구상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마치 재야 원로들이 이 방안을 지지한 양 꼼수를 부린 것도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이해찬 상임고문 쪽은 재야 원로 모임인 ‘희망 2013·승리 2012 원탁회의’가 이 구상에 동의한 것처럼 선전했지만, 원탁회의는 공식 보도자료를 내어 이를 부인했다. 박지원 최고위원은 출마 회견에서 “원탁회의 제안이어서 뿌리치기 어려웠다”고 말했지만, 원탁회의가 그에게 무슨 제안을 한 것 같지 않다.

사실 총선을 거치며 박근혜 1인 체제가 굳어진 새누리당에 견주면 민주당의 현재 리더십은 취약하기 짝이 없다. 강력한 대여 전선을 위해 효율적이고 능력있는 리더십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취약하고 책임감 없는 리더십이 얼마나 큰 해악을 끼치는지 여실히 드러난 바 있다. 이른바 투톱 구상은 이런 총선 과정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됐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당원과 지지자들의 동의 없는 강력한 리더십이란 불가능하다. 민주당이 처한 딜레마일 것이다. 상처투성이로 누더기가 된 투톱 구상을 접고 좀더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논의를 통해 강력하고 효율적인 리더십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