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5.04 11:02 수정 : 2012.05.04 11:05

비례대표 경선 부정 파문에 휩싸인 통합진보당이 수습책 마련에 진통을 겪고 있다. 어제 열린 대표단회의에서 이정희·유시민·심상정 공동대표 3인은 철저한 진상조사와 쇄신책 마련을 약속하며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질 뜻을 분명히 했다. 공동대표 3인의 동반사퇴가 쇄신 시작의 한 축이라면, 경선으로 뽑힌 비례대표 당선자들의 사퇴 역시 쇄신으로 가는 또다른 한 축이다.

통합진보당은 4·11 총선에서 모두 20명의 비례대표 후보를 등록했고, 전체 정당투표의 10.3%를 얻어 비례 순번 6번까지 당선됐다. 이들 중 비례 1·2·3번인 윤금순·이석기·김재연 당선자는 당내 경선을 거쳤고, 4·5·6번인 정진후·김제남·박원석 당선자는 경선 없이 영입됐다. 1번 윤금순 당선자는 여성 비례, 2번 이석기 당선자는 일반 비례, 3번 김재연 당선자는 청년 비례 경선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당내 일각에선 설사 경선 관리에 문제가 있었더라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닌 만큼 이들 세 당선자가 사퇴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단견 중의 단견이다. 한 표가 됐든 두 표가 됐든 절차가 잘못됐다면 결과에 관계없이 정치적 책임을 지는 게 공당의 자세다. 지난 총선 당시 서울 관악을 단일화 경선 파동에서 이정희 대표가 후보직을 사퇴한 것도 결과와 관계없이 정치적 책임을 진 것이었다. 경선으로 뽑힌 이들 세 당선자의 비례대표직 사퇴는 사태 수습의 기본이다.

3명의 비례대표 당선자가 사퇴한 뒤에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당내에서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경선에 부정이 있던 터에 다시 경선으로 뽑힌 후순위 비례대표 후보들이 자리를 승계하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은 일리가 있다. 경선 없이 이른바 전략명부로 비례 12번 자리를 배정받은 유시민 공동대표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는 마당에 자리를 승계받는 것도 도리가 아니다.

통합진보당은 어제 ‘공동대표단 입장’을 통해 진상조사위 보고서를 가감 없이 공개함으로써 진보의 도덕성 회복과 당 쇄신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 수사에 대해선 불순한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당 지도부를 비롯한 모든 구성원은 당이 처한 상황의 엄중함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자칫 당이 공중분해될지도 모를 정도로 존립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뼈를 깎는 쇄신을 하는 길만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지름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