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5.10 19:08 수정 : 2012.05.10 19:08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부정 경선 파문을 틈탄 보수세력의 색깔론 공세가 도를 넘어섰다. 진보정치세력에 대한 수구언론의 색깔 덧씌우기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아예 통합진보당을 ‘간첩의 소굴’로 몰아가겠다는 기세다.

이번 사건의 본질은 통합진보당이 비례대표 선출 과정에서 저지른 민주주의 가치의 훼손이다. 이념이나 사상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기본인 절차적 정당성 준수의 문제다. 당권파들이 보이는 비상식적이고 독선적인 행동은 물론 비판받아야 마땅하다. 당내 일부 세력의 정파 온정주의와 패권주의, 비밀주의 행태 역시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하지만 그것을 곧바로 북한 추종, 주사파, 반국가 조직 재건 등과 연관짓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자 사안의 본질을 크게 호도하는 것이다.

통합진보당에 대한 색깔 덧씌우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구체적 증거가 너무 불충분하다는 점이다. 보수언론의 기사는 대부분 ‘정부 소식통’ ‘정보당국’ 등 실체가 모호한 관계자를 인용하고 있다. 언론보도의 기본이라 할 6하원칙마저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도 “종북 민혁당, 하영옥 주도로 조직재건” 등 당사자와 통합진보당에 치명적인 내용을 아무 거리낌 없이 보도하고 있다.

보수언론들의 주장이 얼마나 허약한가는 ‘정보당국이 찾고 있다’던 하영옥씨가 곧바로 보도 내용을 부인하고 나선 데서도 입증된다. 하씨는 “언론이 기초적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고 보도한 데 대해 민형사적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혁당 조직 재건 여부는 앞으로 사실관계를 명백히 가려야 하겠지만 멀쩡히 생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두고 “정보당국이 행방을 찾고 있다”고 말한 대목에서부터 보도의 신빙성에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보수언론뿐 아니라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도 엊그제 논평에서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부정경선은 북한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반민주적 행태”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북한 선거에서 100% 찬성이 나왔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봤어도 투표 부정으로 논란이 빚어졌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통합진보당 사태에 억지로 북한을 끌어들이려다 보니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다.

보수세력들이 색깔론 공세로 노리는 바를 짐작하기란 어렵지 않다. 그로기 상태에 빠진 통합진보당에 치명타를 가하고, 대선 등을 앞두고 진보진영 전체를 친북 위험세력으로 몰아가는 효과를 기대할 것이다. 하지만 철 지난 색깔론 공세는 너무나 치졸하고 비겁하다. 색깔이 아니라 민주주의 문제만 이야기해도 통합진보당에 너무 할 말이 많지 않은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