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5.14 19:08 수정 : 2012.05.14 19:08

통합진보당이 어제 전자투표로 속개된 중앙위원회에서 강기갑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출범시켰다. 중앙위는 또 경선 비례대표 당선자 및 후보자들의 총사퇴를 뼈대로 하는 당 혁신안도 재석 545명에 찬성 541명, 반대 4명의 압도적 찬성으로 가결했다. 전자투표의 법적 효력을 두고 당권파 쪽이 인정하기 어렵다고 반발하고 있지만, 중앙위의 어제 결정 사항은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최소 조건이라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통합진보당은 지금 당권파가 저지른 폭력 사태로 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처지에 빠져 있다. 당 내부는 물론 개혁진보진영 전체에서 비판이 쏟아지면서 차라리 당을 해체하란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상황이 더 악화되는 걸 막고 위기를 타개해 나갈 수 있는 실마리가 바로 어제 중앙위원회 결정 사항이다.

당권파가 전자투표의 효력을 문제 삼아 법적 투쟁을 벌인다거나, 강기갑 비대위원장 체제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당이 무정부 상태, 사실상의 분당 국면으로 빠져들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강기갑 체제를 일정 부분 인정하더라도 당권파의 실세인 이석기 당선자를 포함한 경선 비례대표 당선자 및 후보자들의 사퇴는 완강히 거부할 태세라고 한다. 걱정스러울 따름이다. 정당 내부 문제는 어디까지나 정치적으로 풀어야 한다. 법에 의지하는 순간 정치는 사라지고 만다. 검찰이 지금의 사태 전개를 주시하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당권파에게 당부한다. 사태를 더는 악화시키지 말라. 회복해야 할 명예가 있다면 그것은 사태를 수습한 뒤의 일이다. 무슨 명예를 회복한다고 버티기로 일관한다면 결국 스스로 무덤을 파는 꼴이다. 비례대표 경선의 부정 여부를 떠나 이번 폭력 사태에 대한 책임만으로도 당권파는 국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한다. 비례대표 경선 진상조사 등을 보아가며 장기적 여론전을 벌이겠다는 식의 꼼수로는 사태를 타개해 나갈 수 없다. 모든 것을 버리고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는 길이 바로 명예를 회복하는 길이다.

어제 출범한 강기갑 비상대책위는 비상한 각오로 당을 뿌리부터 바꿔나가야 할 것이다. 강기갑 비대위원장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수습이나 봉합이 아닌 혁신비대위라는 점을 강조했다. 발상부터 혁신적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경선 비례대표 사퇴 문제를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반반 섞어 결정하자는 식의 어설픈 발상으론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어렵다. 오로지 국민의 소리에만 귀기울이면서 원칙과 상식에 입각한 쇄신의 길을 걷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