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5.22 19:11 수정 : 2012.05.22 19:11

검찰이 어제 통합진보당 사건과 관련해 ‘비례대표 부정경선 의혹’ 등 모든 의혹에 대한 철저 수사와 압수수색 저지행위 가담자 전원에 대한 엄단 방침을 밝혔다. 이번 검찰 수사는 당권파의 무리한 버티기 등 통합진보당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 그럼에도 성급한 압수수색에 이어 검찰이 보여주고 있는 태도가 여러 가지 면에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우선 왜 지금 시점에 압수수색을 강행했는가 하는 점이다. 강기갑 통합진보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0일 오전 10시를 비례대표 경선 당선자·후보자들의 사퇴 시한으로 잡아놓고 출당 조처를 하려던 시점이었다. 이 조처로 모든 게 정리되지는 않더라도 사태 해결의 가닥이 잡히면 향후 당 스스로 쇄신 조처를 해나가려던 참이었다. 6월 전당대회를 통해 체제 정비를 마치면 정리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바로 이때 검찰이 뛰어든 것은 수습을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살 만하다. 당 내부의 업무방해 혐의를 조사한다며 오히려 검찰이 당의 업무를 방해한 꼴이 된 것이다.

특히 이해하기 힘든 것은 ‘비례 경선’이나 ‘중앙위 폭력’ 문제 이외에 ‘야권 단일화 관련 여론조작 의혹’ 등에 대해서까지 수사하겠다고 밝힌 대목이다. 서울 관악을 경선 여론조사 조작 문제 등은 이미 후보가 사퇴해 일단락된 상태인데 이것까지 보겠다는 건 명백한 검찰권 남용이요, 사실상의 정치개입 선언으로 볼 수밖에 없다. 더구나 야권 단일화 문제를 손대면 통합진보당뿐 아니라 민주통합당에까지 파문이 미칠 수 있다. 이런 점을 모를 리 없는 검찰이 굳이 이 대목을 고집한 것은 대선을 앞두고 야권연대의 의미를 퇴색시켜 보려는 저의가 깔린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불러오기에 충분하다.

검찰이 어떤 이유로 이처럼 미묘한 시점에 야당 중앙당사 압수수색을 강행하고, 야권 단일화 경선까지 수사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발표했는지 아직 속단할 수는 없다. 검찰 주변에선 야권연대 흠집내기, 또는 야권의 검찰개혁 저지용이라는 등 여러 관측이 흘러나오는 모양이다. 정확한 의도는 수사가 진행되는 모양을 봐야 확인할 수 있겠지만, 만일 다른 뜻을 품고 일을 벌인 것이라면 엄청난 저항에 부닥칠 수 있다는 점을 검찰 수뇌부는 알아야 한다.

최근 이상득 새누리당 의원이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친형 노건평씨 사건 등 주요 사건 수사에서도 ‘정치검찰’의 행태가 재연될 조짐이 보인다. 검찰은 국민들이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