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6.04 19:07 수정 : 2012.06.04 19:07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강수경 교수 외에 강경선 교수의 논문에 대해서도 전면 조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강수경 교수의 논문 14편, 새롭게 의혹이 제기된 강경선 교수의 논문 1편 이외에 두 사람이 공동저자로 올라 있는, 2007년 이후의 논문 25편까지 조사 대상에 포함시켰다는 것이다. 강경선 교수는 황우석 전 교수 이후 국내 줄기세포 연구의 선두주자로 꼽히니, 사태의 파장이 걱정스럽다.

물론 위원회는 조작 여부에 대해서는 확정하지 않았다. 논문 속의 오류에 고의성이 개입되었는지 확정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단순한 실수로 보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예비조사를 거친데다 연구실 안팎을 차단한 상태에서 연구노트와 실험데이터를 확보하는 등 사실상 압수수색을 한 것을 보면, 위원회가 실수와 고의 가운데 어느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지 알 만하다.

강수경 교수의 경우 2006년부터 국제학술지에 실린 논문 14편에서 비슷한 오류가 거듭 발견됐다. 문외한이라도 의심할 만하다. 강경선 교수는 데이터 조정 등 문제의 논문을 수정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이 논문이 실린 국제학술지 <항산화 및 산화환원신호> 편집진은 조작 여부 조사를 서울대에 의뢰했다. 조정할 수준을 넘어섰다는 뜻일 게다.

당최 알 수 없는 건, 어떻게 황씨 사건이 터진 지 불과 6~7년 만에, 그것도 같은 대학 인접 실험실에서 같은 유형의 의혹이 되풀이되는가이다. 황씨 사건은 국민적 충격을 떠나 외국에선 한국 과학자들을 왕따로 만들었다. 국제 학술지는 한국 과학자와 그들의 연구논문을 기피했다. 자칫 학술지의 생명이라 할 신뢰를 추락시킬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기왕 문제가 발생했으니, 우선 진실성 조사나마 신속하고 확실하게 해야 한다. 황씨 사태가 더 치명적이었던 것은, 사건(환자 맞춤형 체세포배아줄기세포 조작) 자체의 중요성과 충격성보다 의혹이 처음 제기됐을 때 정부와 서울대가 진상 규명보다는 오히려 문제를 덮느라 동분서주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조작이 드러났는데도 미련이나 온정주의가 남아 사후 조처에 미온적이었다. 되풀이되어선 안 될 일이다.

더 근본적으로는 생명이 걸린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부정의 유혹에 쉽게 빠지는 배경을 따져야 한다. 2007년이면 황우석씨 사건으로 우리 사회가 몸살을 앓던 때였다. 바로 그때 인접한 연구실에서 비슷한 일이 진행되고 있었다면, 그건 개인의 윤리를 떠나 시스템의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학계에선 단기 성과나 심지어 연구비 조달 능력으로 연구자가 평가받는 풍토를 지목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