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6.20 19:55 수정 : 2012.06.20 19:55

강원외고가 내신은 중학교 영어만 반영하도록 한 지침을 어기고 국어·수학까지 신입생 선발에 반영했다가 감사를 받고 있다고 한다. 일류 대학에 많이 보내기 위해 학과 성적이 두루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려다 꼬투리를 잡힌 것이다. 처음 드러난 것은 아니지만, 2013년 신입생 선발을 앞둔 시점이어서 학부형의 눈초리가 따갑다. 강원도교육청은 실상을 낱낱이 파헤쳐 경종을 울려야 할 것이다.

문제는 이런 편법이 강원외고에 국한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이미 용인외고 등도 비슷한 편법을 동원했다가 적발돼 징계를 받았다. 외고는 설립목적 자체가 터무니없다. 외국어 영재를 육성한다는 것이지만, 그런 영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외국어 구사 능력은 아이들의 성장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어릴 때부터 외국에서 살거나, 사교육을 많이 받은 아이일수록 외국어 구사력은 좋아진다. 목적 자체가 터무니없다 보니, 입시명문이 외고의 존재이유가 되어버렸다. 더 공부 잘하는 학생을 뽑아 명문대학에 더 많이 합격시키는 게 목적이 되어 버린 것이다.

이런 외국어고의 성가는 학교교육이 아니라 신입생 선발에 의해 좌우된다. 대입 성적은 얼마나 우수한 신입생을 선발하느냐에 달려 있다. 각 외국어고가 그동안 신입생 선발에서 온갖 편법을 동원했던 까닭이다. 강원외고의 경우 1차 영어 내신, 2차 면접이 끝났는데도, 편법으로 확보한 국·영·수 내신 백분위를 이용해 최종합격자를 걸러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면접을 본고사에 준하는 지필고사로 치르는 학교도 있었지만, 쉽게 적발되는 탓에 동원하기 힘들다.

이명박 정부는 학교 자율화를 앞세워 각종 특수목적 학교 설립의 제한을 완화하고 각 학교에 선발의 자율성을 대폭 허용했다. 이는 중학교는 물론 초등학교까지 교실의 위기로 이어졌다. 특목고를 겨냥한 특수목적 중학교가 등장하고, 여기에 입학하기 위한 온갖 사교육이 창궐했다. 교육을 통해 부와 지위를 대물림하는 징검다리를 완성한 셈이었다. 그 결과 공교육이 뿌리부터 흔들리고, 사회적 위화감이 위험 수준에 이르렀다. 이 정부가 입학전형 제한 조처를 취한 이유다.

외국어고는 입시명문 이외에는 달리 내세울 목적도 명분도 없다. 어떤 규제로도 선발 효과를 겨냥한 파행을 제지하기 힘들다. 따라서 최선은 외고를 없애는 것이지만, 당장 없애기 힘들다면 선발 과정에서의 불법과 파행을 발본색원하는 일이다. 사정은 다른 학교들도 강원외고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2013학년도 선발을 앞두고,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모든 외고로 감사를 확대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