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6.21 19:19 수정 : 2012.06.22 08:29

새누리당 당원 220만명의 인적사항이 적힌 당원명부가 4·11 총선 예비후보자 8명에게 넘어갔고 이 중 1명이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별도로 당원명부를 넘겨받은 문자발송업체는 새누리당 후보 30여명의 선거를 도왔는데, 이 중 10명 이상이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유출된 당원명부를 매개로 총선 공천 과정에서 어떤 형태로든 불공정 행위가 이뤄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 셈이다.

이번 명부 유출 파동은 원내 제1당인 새누리당에서도 불공정 공천 의혹이 제기됐다는 점에서 예사롭지 않다. 지난 총선 때 새누리당 충북 청주 흥덕을 경선에서 패배한 오장세 후보는 어제 “당원이 20% 포함된 국민참여경선을 했는데 상대방이 100문제 중 20문제를 먼저 알고 불공정 게임을 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경선에서 승리한 김준환 후보는 “문자 하나 보낸다고 해서 후보자가 되겠느냐”며 지역에서 당원명부 유출은 일종의 관행이라고 말했다. 당사자들 이야기만 들어봐도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실제 명부 유출로 인한 불공정 경선이 이뤄졌는지, 명부 유출이 광범위한 관행이었는지, 주민번호와 전화번호 등 신상정보가 적힌 명부가 어떻게 유통되었는지 등을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

무엇보다 불공정 공천 의혹에 대한 새누리당의 이중잣대는 이해하기 어렵다. 통합진보당의 경선 부정에 대해선 이석기·김재연 의원의 자진사퇴까지 압박하며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더니 자신들의 부정 의혹은 별게 아니라는 투다. 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 조사팀장인 박민식 의원이 엊그제 “명부 유출이 공천 과정의 공정성을 크게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고 말한 게 대표적이다. 남의 잘못은 엄히 추궁하면서 자신의 잘못엔 눈을 찔끔 감는 건 공당이 취할 태도가 아니다.

새누리당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10명은 어제 성명을 내어 “당 지도부가 사건의 축소를 통한 의혹 덮기에 급급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박근혜 당시 비대위원장과 권영세 사무총장이 현 지도부의 사과 뒤에 숨어 침묵하는 건 정치적 도리가 아니다”고도 했다.

공천의 공정성 여부는 정당의 도덕성과 직결된 사안이다. 진실은 밝히고 책임질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 총선 당시 새누리당을 이끈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 역시 여기서 자유롭지 않다. 국민에게 사과할 일이 있으면 사과하고,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져야 할 것이다.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 역시 권력의 눈치 보는 일 없이 있는 힘을 다해 수사해야 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