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6.27 19:14 수정 : 2012.06.27 19:14

통합진보당이 갈수록 태산이다. 비례대표 경선 부정에 대한 2차 진상조사 특위의 결론을 두고 당권파와 비당권파가 전혀 상반된 해석을 내놓으며 티격태격하고 있다. 오는 30일까지 치를 예정이던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절차는 시스템 오류로 온라인투표가 전면 중단됐다. 무엇 하나 가닥이 잡히지 않고 얽혀만 가는 형국이다.

2차 진상조사 특위는 보고서에서 “비례대표 경선은 현장투표와 온라인투표 모두 부정을 방조한 부실선거였다”고 밝혔다. 총체적 부실선거라는 1차 조사의 결론을 거듭 확인한 셈이다. 온라인투표의 경우 미투표 정보를 이용해 당권파의 특정 후보를 조직적으로 지원한 이른바 ‘관권선거’였다는 것이고, 현장투표도 이중투표와 대리투표가 확인된 지역을 무효화하면 32.4%가 무효라는 결론이다. 당권파 쪽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태도다. 당사자 소명도 충분히 듣지 않고, 누가 어떤 부정을 했는지 입증하지도 않은 채 이석기 의원에 대한 표적조사를 했다는 것이다. 이 와중에 2차 진상조사 특위 위원장은 조사의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자진사퇴해 버렸다. 한마디로 점입가경이다.

마주 보며 달리는 열차를 보는 것 같은 통합진보당 내의 소모적 대결을 보면서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 비례대표 경선 부정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그리고 뒤이은 당내의 폭력사태만으로도 당내의 책임있는 세력이나 인사는 모두 석고대죄하고 직을 버려야 한다. 초등학교 반장 선거도 이렇게는 하지 않는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경선으로 뽑힌 비례대표 의원·후보자의 전원 사퇴만이 사태 수습의 출발선이다.

2차 진상조사 결과를 양쪽 모두가 수용하지 못하리란 건 애초부터 예상됐던 터다. 국민들 눈에는 당권파가 부정을 저질렀건, 양쪽이 다 부정을 저질렀건 그리 중요하지 않다. 2차 진상조사 결과로 경선 부정이 사실무근이었다고 볼 근거는 더더욱 없어졌다. 비례대표 경선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다면 공당으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이석기·김재연 의원은 더 늦기 전에 자진사퇴의 결단을 내려주길 바란다. 이대로 가다간 진보정당의 존립 기반마저 무너지는 사태가 올 수 있다.

혼미한 당내 상황 속에서 그나마 당을 수습할 계기로 기대했던 지도부 선출 절차마저 혼란에 빠졌으니 딱한 노릇이다. 한마디로 공멸의 위기다. 당내에서 누가 부정을 했네, 안 했네 싸우고 있을 상황이 아니다. 통합진보당의 모든 책임있는 주체들은 대오각성해 소아를 버리고 대의를 위하는 마음으로 사태 수습에 나서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