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박근혜 의원에게 5·16은 여전히 ‘구국의 혁명’인가 |
새누리당 박근혜 의원이 두번째 대선 도전을 선언하면서 그의 역사인식과 민주주의 철학의 문제가 다시 검증의 도마 위에 올랐다. 5·16과 유신체제 등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국가 최고지도자의 자리에 오르려는 사람의 자질과 소양을 판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근거이기 때문이다.
박 의원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검증 청문회에서 “5·16은 구국의 혁명이었다. 유신체제는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최근에는 직접적 표현을 한 적이 없으나 이런 인식에 크게 변화가 없으리라는 것이 일치된 관측이다. 오히려 최근 새로 기용한 핵심 측근들의 면면이나 이들의 발언을 보면 박 의원의 태도는 더욱 완강해진 듯하다.
박 의원 측근들이 한결같이 내세우는 논리는 “5·16은 쿠데타의 성격과 혁명의 성격을 다 가지고 있다. 5·16을 통해 한강의 기적을 이루게 됐다”(박효종 정치발전위원)는 것이다. 결과가 좋으면 수단이야 어찌됐든 상관없다는 논리다. 표현만 다소 완화했을 뿐 ‘구국의 혁명’이라는 주장과 대동소이하다. 군인들이 총칼로 헌법 질서를 파괴한 행위도, 박정희 전 대통령이 근대화를 앞세워 국민의 자유를 억압한 행위도 철저히 외면한다.
박 의원 캠프의 좌장인 홍사덕 공동선대위원장은 어제 ‘정몽주-세종대왕론’을 펼치며 “선조를 비난하면서까지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조언할 생각이 추호도 없다”는 말도 했다. 지금 국민이 제기하는 질문은 박 의원이 자식으로서 아버지를 어떻게 보고 있느냐가 아니다. 아버지 이전에 전직 대통령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해 그의 국정운영 방향 등에 대한 태도와 소양을 검증하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를 ‘가족 관계’로 격하시켜 검증작업에 물타기를 시도하는 것은 유감스럽기 짝이 없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역사인식의 검증 자체를 경멸하고 배척하는 박 의원 쪽 분위기다. “(이런 논쟁으로는) 비스킷 하나도 나오지 않는다”(홍사덕 위원장)는 말이 대표적이다. 모든 것을 ‘돈’ 문제로 치환하는 천박하기 짝이 없는 논리다. 이런 사람이 캠프의 좌장 노릇을 하고 있는 데 혀를 차지 않을 수 없다.
이명박 정부 들어 박정희 군사독재 정권에 대한 미화 작업은 역사교과서 개편 작업 등을 통해 착착 진행돼 왔다. 거기다 박 전 대통령의 딸인 박 의원이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로 등장하면서 역사의 왜곡은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이제 박 의원은 직접 자신의 입으로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당당히 검증을 받기 바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