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7.20 19:06 수정 : 2012.07.20 19:06

지난해부터 16개월 이상 진행돼온 시리아의 비극이 인내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아랍 민주화 바람 속에서 시작된 시리아의 반독재 투쟁은 탱크와 기관총, 헬리콥터까지 동원한 독재자 바샤르 아사드 정권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유혈극으로 번진 지 오래다. 정부군과 반군의 공방이 치열해지면서 이제까지 숨진 사람만 무려 1만7000명을 넘는다. 대규모 학살이 눈앞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데도, 국제사회는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얽매여 중재력도 제지력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8일엔 수도인 다마스쿠스의 국가안보국 건물에서 폭탄이 터지면서 아사드 정권의 전·현직 국방장관과 국방차관이 사망했다. 시리아 사태가 일어난 이후 아사드 정권이 입은 최대의 타격이다. 다급해진 아사드는 곧바로 후임 국방장관을 임명하고, 시리아군은 범죄자들을 끝까지 추적해 보복하겠다고 선언했다. 아사드 정권이 전략지역인 골란고원에서 정예 병력을 빼 대규모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거나, 최후의 방법으로 화학무기를 사용할지도 모른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양쪽 사이의 증오와 분노의 상승작용을 제어하지 않으면, 사태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으로 치달을 게 뻔하다.

유엔 안보리는 그제 아사드 정권에 대한 제재와 유엔 감시단 활동의 연장을 뼈대로 하는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로 부결됐다. 두 나라가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지난해 10월과 올해 2월에 이어 세번째다. 러시아는 타르투스항에 대한 군함의 기항권과 연 40억달러에 달하는 무기 수출이라는 직접적 이권이 있고, 중국도 러시아와 함께 중동에 대한 미국의 일방적 영향력을 견제한다는 전략적 목적이 있다고 한다. 시리아는 지정학적으로 터키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잇는 수니파 축과 레바논-이라크-이란을 잇는 시아파 축의 교차점에 있어, 아사드 정권의 운명은 중동의 이슬람 판도 변화에도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현재 시리아는 16% 정도의 알라위파(시아 분파)가 70%가 넘는 수니파를 지배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은 자신들의 행동이 결과적으로 소탐대실임을 알아야 한다. 전략적 이해가 걸려 있다고는 하지만, 자국민을 학살하는 정권을 돕는 건 반인도적 행위에 가담하는 것과 진배없다. 두 나라는 지금이라도 정책을 바꿔 시리아의 비극을 끝내는 데 적극 협력하기 바란다. 목전의 이해에 얽매여 폭압 정권을 비호하다간 아랍 민중의 마음을 잃게 된다는 걸 두 나라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두 나라의 책임이 무겁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