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본격화한 여야 대선 경선, 정책 경쟁의 장 되길 |
연말 대선을 5개월여 앞두고 여야의 대선 후보 경선전이 본격화했다. 엊그제 대선 경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새누리당에선 박근혜 후보를 비롯해 모두 5명의 후보가 경선에 뛰어들었다. 23일 방송토론을 시작으로 경선 절차가 본격화하는 민주당에선 모두 8명의 후보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바야흐로 연말 대선으로 이어지는 정치의 계절이 시작된 셈이다.
5년마다 치러지는 대선이지만, 이번 대선을 통해 정치권이 국민에게 내놓아야 할 숙제는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 경제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는 와중에 경제민주화와 성장을 조화롭게 추진하는 문제는 절체절명의 과제다. 남북관계의 재정립, 교육 적폐의 해소, 개헌 문제에 이르기까지 국민적 의견 수렴이 필요한 사안이 산적해 있다. 여야의 사정이 각기 다르지만 각 당은 경선전이 무엇보다 민생을 보살필 정책 경쟁의 장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네거티브 공세나 장밋빛 공약만으론 당과 국민의 선택을 받기 어렵다는 점을 후보들은 명심하길 바란다.
여야의 대선 경선은 흥행몰이를 통해 어느 쪽이 더 국민의 시선을 끄느냐도 관심이다. 다음달 19일까지 한달간 치러지는 새누리당 경선은 ‘박근혜 추대 대회’라는 비판을 잠재우는 게 관건이다. 임태희·김태호·안상수·김문수 후보(기호순) 등 4명의 이른바 ‘비박근혜’ 주자들은 어제 합동연설회 방식에 반발했다. 연설회에서 한 후보가 다른 후보에 대해 찬조연설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실상 경쟁 후보를 칭찬하도록 한 것인데, 아무리 뻔한 경선이라지만 너무했다. 박근혜 후보 쪽이 본선에만 신경쓰면서 당내 경선을 이런 식으로 깔아뭉개면 결국은 자기 손해다. 박 후보는 소탐대실하지 말기 바란다.
민주당은 갈 길이 멀다. 오는 29~30일 예비경선을 통해 손학규·조경태·문재인·박준영·김정길·김두관·김영환·정세균(기호순) 등 8명의 후보를 5명으로 압축하고, 다시 다음달 25일부터 한달간 본경선에 들어간다. 최근 대선 출마를 강력히 내비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행보가 활발해질 경우 야권의 대선 후보 경선전은 더욱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야권 대선 후보 선출 과정이 다단계로 진행될수록 후보들은 제 살 깎아먹기가 아닌 전체 야권의 경쟁력을 키우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선거 때면 정치권에 정책 경쟁을 주문하면서도 국민은 정작 표 찍을 때 다른 요소를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대선 과정에선 후보들은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알찬 공약을 내놓고, 국민은 이를 정당히 평가해주는 풍토가 정착되길 기대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