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7.23 08:28 수정 : 2012.07.23 10:00

문화방송 사장 선임권을 가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 공모에 여당 추천 현직 이사들이 대거 지원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방송 노조가 방송 사상 최장기인 170일 동안 파업을 벌이는 동안 사태 해결을 위해 아무런 역할도 못했던 여당 추천 이사 6명에다 감사까지 포함한 7명 모두가 이사 노릇을 더 하겠다고 나섰다니 어처구니가 없다. 이들은 불공정 방송 책임에다 개인비리 의혹까지 받고 있는 김재철 사장을 적극 감싸왔다는 점에서 연임은커녕 사실상 장기파업을 방조한 데 대한 책임을 김 사장과 함께 져야 할 사람들이다. 양심이 있다면 신청을 즉각 철회하기 바란다.

방송통신위의 이번 공모 절차는 이사들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긴 했지만 ‘낙하산 사장’을 근절하기 위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아무런 개선책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부터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대통령이 공영방송 사장 인사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방통위의 방문진 이사 추천권과 한국방송 이사 추천권을 없애거나 최소화해야 한다는 게 언론계 안팎의 중론이다. 방문진의 경우 현재 여야 추천 이사 비율이 6(청와대 추천 3인 포함) 대 3인 것을 여야 동수로 바꾸는 방안 등이 제시돼왔다.

더구나 여야가 지난달 29일 국회 개원의 조건으로 문방위에서 언론 관련 청문회를 열기로 합의한 상태에서 논의가 지지부진한 틈을 타 얼렁뚱땅 현행대로 방문진 이사를 꾸리려는 것은 안 될 말이다. 특히 새 방문진 이사회가 문화방송 장기파업 사태와 관련해 ‘합리적 경영판단 및 법 상식과 순리에 따라 조정·처리하도록 여야가 협조’하기로 한 데 비춰 현 이사진이 연임한다는 건 상식과 순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김재철 사장이 그동안 얼마나 문화방송을 망가뜨렸는지는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가 청와대에서 ‘조인트를 까이며’ 시키는 대로 인사를 했다는 전임 방문진 이사장의 증언이 말해주듯이 공영방송에 대한 신뢰 추락은 간판 뉴스프로그램의 사상 최저 시청률로 나타났다. 여기에 배임 등 개인비리 의혹까지 터져 김 사장 구속 촉구 서명에 무려 72만명이 넘는 시민이 참가했다. 이처럼 현 정권의 방송장악 시도가 국민적 저항에 부딪혀 있음에도 그동안 정권의 방송장악에 주구노릇을 해온 자들이 연임을 바라는 것은 뻔뻔하기 이를 데 없는 짓이다.

박근혜 의원과 새누리당이 현 정권의 ‘방송장악’ 수법을 이어받으려는 게 아니라면 약속한 대로 즉각 언론청문회를 열고 방문진 이사진도 중립적 인물들로 전면 개편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