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01 18:48 수정 : 2012.08.01 18:48

정부와 새누리당이 어제 당정협의를 통해 올해 세제개편 방향을 논의했다. 대기업의 최저한세율을 현행 14%에서 15%로 높이고, 금융소득 종합과세의 기준금액을 낮추는 것 등에 합의했다고 한다. 그동안 부자감세로 비난 받던 정부·여당이 이 정도나마 증세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증세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데다 부자증세에 별로 적극성을 보이지 않아 증세 시늉만 낸 느낌이다.

우선 증세에 지나치게 소극적이다. 정부·여당은 대기업의 최저한세율 인상 등으로 연간 1조8000억원의 세금이 더 걷힐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200조원이 넘는 올해 국세 수입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는 출범하자마자 종합부동산세 무력화를 시작으로 법인세 인하 등 대대적인 감세정책을 폈다. 그 결과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80조원이 넘는 세수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감세할 때는 이렇게 대규모로 해놓고 고작 1조8000억원짜리 증세안을 내놓은 건 생색내기에 불과하다.

딱히 부자증세라고 부를 만한 것도 없다. 대기업의 최저한세율 인상으로 더 걷히는 세금도 1000억원 정도뿐이다. 고소득자에게 세금을 더 물리려던 소득세 과표구간 조정도 별 진전이 없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금액도 현행 연 4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낮추는 데 그쳤다. 주식양도차익 과세도 해묵은 과제인데 과세 범위를 조금 확대하는 선에서 그칠 모양이다. 여론을 의식해 부자증세라는 소리를 듣고 싶었을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속 빈 강정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내수 활성화 차원에서 골프장 개별소비세를 감면하려는 건 좀 뜬금없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폐지도 마찬가지다. 이런 조처들은 자칫 내수 활성화에는 아무런 기여도 못한 채 부유층이나 집부자들의 세금 부담만 덜어주고 끝날 수 있다. 내수 활성화 효과에 확신이 없으면 손대지 않은 것만 못하다.

그나마 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세제 지원을 강화한 것 등이 눈에 띈다. 이번에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는 것보다 연금으로 받는 게 더 유리한 쪽으로 제도를 바꾼 것이나 역모기지 소득공제 대상 기간을 확대한 것 등은 긍정적이다.

복지수요 확대에 부응하고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려면 증세가 불가피하다. 늘어나는 세금은 여력이 있는 계층이 더 많이 부담하는 수밖에 없다. 결국 세제를 개편해 이를 관철해야 하는데 정부·여당은 소극적인 태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강부자 정권’의 한계이겠지만 앞으로 부족한 재원을 어디서 충당할지 걱정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