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03 19:23 수정 : 2012.08.03 19:23

공천헌금 의혹 사건으로 새누리당이 큰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비박계’ 대선 경선 후보들이 황우여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며 경선 거부를 시사하고 나서는 등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파문의 한복판에는 박근혜 의원이 있다.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공천을 주도한 책임자인데다, 사태 수습도 결국 박 의원 몫이기 때문이다.

공천헌금 파동에 대한 박 의원의 일차적 반응은 “당사자들의 말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에 검찰에서 한점 의혹 없이 밝혀야 할 문제”라는 원론적인 내용이었다. 그것도 자발적으로 한 말이 아니라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지자 내놓은 답변이었다.

물론 공천헌금 의혹의 진위를 가리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19대 총선을 이끈 최고책임자가 마치 남의 말 하듯이 공을 검찰에 넘기는 태도는 썩 유쾌하지 않다. 이런 불미스런 사태가 빚어진 사실 자체만으로도 국민에게 사과하는 것이 정치적 도의이며 상식이다.

공천 잡음이 빚어진 근본 원인을 따지고 보면 박 의원의 책임은 더욱 커진다. 당시 새누리당 공천은 ‘공천 혁명’이니 ‘시스템 공천’이니 하는 자랑과는 달리 사실은 박 의원 주변의 몇몇 힘있는 실세들이 주도한 전형적인 ‘밀실 공천’이었다. 이번에 문제가 된 현기환 전 의원도 대표적인 친박 인사다. 공천 과정의 이런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한 박 의원의 진지한 성찰이나 반성이 보이지 않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

새누리당의 대응도 박 의원의 대선 가도에 끼칠 악영향을 차단하는 묘수 찾기에 급급한 수준이다. 새누리당은 어제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를 열어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에게 탈당을 권유하기로 결정했다. 김형태·문대성 의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꼬리자르기 수법을 다시 되풀이하고 나선 것이다.

새누리당의 탈당 권유는 논리적으로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새누리당은 그동안 검찰 수사를 통해 진위를 밝히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해왔다. 그런데 아직 관련자들의 혐의 사실이 드러나지 않았는데도 무조건 내쫓겠다는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최고위원회의 이런 결정 역시 박 의원의 의중과 무관하지 않으리라는 점에서 박 의원의 대응 방식에 다시 한번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심지어 새누리당 안에서는 “제보자가 민주당 유력인사를 만났다는 소문도 있다”며 야당의 기획작품설까지 은근히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식의 꼼수는 별로 통할 것 같지 않다. 무엇보다 이번 사건의 근본 원인인 ‘일인 정당’ 폐해 문제에 대한 진정한 성찰이 없는 한 위기 탈출의 해법을 찾기란 힘들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