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05 18:46 수정 : 2012.08.05 21:16

새누리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 보이콧 사태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어제 열린 ‘7인 연석회의’에서 ‘돈 공천’ 의혹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 등에 합의하고 경선 일정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친박과 비박 모두 파국은 면해야 한다는 데 이해가 일치했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번 사태의 본질인 새누리당의 사당화와 박근혜 후보의 비민주성 문제가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사당화와 비민주성은 ‘5·16은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라는, 그의 도착적 민주주의 인식에서 비롯된 박 후보의 습관적 행태다.

경선 보이콧 사태의 계기가 된 ‘돈 공천’ 의혹은 친박이 공천 심사를 전횡할 때부터 제기됐다. 일방의 전횡은 밀실, 담합, 부정으로 이어진다. 새누리당이 내세운 공천 혁신의 뼈대는 이를 막기 위한 민주성과 투명성의 확보였다. 그러나 여론조사가 조작되고, 전과 경력이 검증에서 누락되는 등의 왜곡이 있었다는 의혹은 초기부터 잇따랐다. 비박 후보들이 뒤늦게 보이콧 카드를 내민 것은 다소 뜬금없지만 공천의 비민주성이나 일방통행식 경선의 비민주성은 다를 게 없다. 공천이 그랬던 것처럼 경선 진행 역시 박 후보의 아바타들에 의해 전횡됐다. 비박 후보들로선 노골화되는 박 후보 추대 양상 속에서, 경선 이후 정치생명까지 어떻게 될지 모르는 위기감을 느꼈을 것이다.

‘돈 공천’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황우여 대표가 책임진다고 합의한 것은 그런 의미에서 전형적 눈속임이다. 공천 심사 때 원내대표였고 당 대표로서 경선을 관장하지만, 그는 박 후보의 ‘대리인’일 뿐이다. 남경필 의원의 주장대로 공천 의혹과 불공정 경선 책임의 정점엔 박 후보가 있다. 공천을 총괄한 것도 그였고, 현 지도부를 구성한 것도 그였으며, 경선 룰도 마찬가지다. 법적인 책임이 없다며, 어제 마지못한 유감 표시로 발을 빼려고 하는 것은 지도자로서 자격 미달이다.

새누리당에 진정성이 있다면, 박 후보의 책임과 함께 문제의 근원인 그의 민주주의 인식을 따져야 한다. 이미 드러난 박 후보의 인식을 용인한다면, 그는 밀실 공천이든 추대용 경선이든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쿠데타나 군사변란으로 말미암은 헌정 중단과 국민주권 폐기를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기는 신념 아래서, 못할 짓이 무엇이겠는가. 박 후보가 유신의 전체주의적 동원체제를 강제한다고 해도 거부할 수 없다. 쿠데타를 불가피하게 여기는 인식에 따르면서, 당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비민주성과 일방주의를 비난하는 건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과연 새누리당은 민주정당을 지향하는가, 이번 기회에 솔직하게 점검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