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13 19:13 수정 : 2012.08.13 19:13

새누리당 공천뇌물 의혹 사건의 진상 규명이 감감무소식이다. 중앙선관위가 검찰에 고발·수사의뢰를 한 지 2주일 가까이 지났지만 속시원히 밝혀진 게 하나도 없다. 공천비리를 둘러싼 온갖 의혹은 눈덩이처럼 번지고 있으나 검찰 수사는 답답한 소걸음을 계속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진상조사 활동 역시 이제야 갓 걸음마를 뗀 단계다. 사건이 터지고 한참 지나서야 진상조사위를 구성하더니 시작부터 조사 범위를 놓고 친박-비박 간에 갈등을 빚느라 또 시간을 허비했다. 진상조사위의 활동 범위도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의 금품수수 의혹에 국한하는 쪽으로 대폭 축소됐다.

진상조사위는 엊그제 4·11 공천 당시 당의 실무 책임자였던 전 기조국장을 불러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사실은 현영희 의원이 지역구 공천 탈락 전날 갑자기 비례대표로 바꿔 신청한 점이다. 누군가 그의 지역구 공천 탈락 사실을 미리 알고 귀띔해 주지 않았는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지역구 공천에 필사적으로 매달리던 그가 갑자기 ‘공천 갈아타기’를 한 점, 직능대표성 등이 전혀 없는데도 비례대표 후보 상위번호를 배정받은 점 등 미심쩍은 구석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공천뇌물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현기환 전 의원은 비례대표심사소위 안에서 후보 선발 기준과 안배 원칙 등을 정하는 기획분과 위원이었다. 두 사람 간의 커넥션에 의혹의 눈길이 더욱 쏠리지 않을 수 없다. 현 전 의원은 애초 “비례대표 공천 확정 전에 현 의원과 전화 통화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2~4월 사이 수십 차례 통화를 한 사실이 밝혀지는 등 거짓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진상조사위가 얼마나 강도 높게 두 사람을 추궁해 진실을 밝혀낼지 지켜볼 일이다.

새누리당이 검찰 수사와는 별개로 진상조사위를 구성한 것은 당 차원의 투명한 진상 규명과 철저한 쇄신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태도를 보면 마지못해 조사하는 시늉만 내려는 모습이 역력하다. 조사 범위를 현영희·현기환 두 사람으로 국한해버린 것부터 그렇다.

진상조사위의 임무는 단순히 이번 사건의 진상조사 차원을 벗어나 공천 전반의 문제점을 규명하는 일이 돼야 마땅하다. 현-현 두 사람 간의 금품수수 의혹을 밝히는 것은 검찰의 몫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조사위는 미리 선을 그어버렸다. 공천비리 의혹을 두 사람의 개인비리로 축소하고 이들을 당에서 제명하는 선에서 사건을 덮으려는 속셈이 뚜렷하다. 그런 눈가림으로 개혁과 쇄신을 외치는 것도 우습지만 공천비리 파문이 쉽게 가라앉을지 참으로 의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