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14 19:12 수정 : 2012.08.14 19:12

통합진보당의 최대 지지기반이었던 민주노총이 엊그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통합진보당과의 결별을 선언했다. 날이 갈수록 갈등과 혼미 양상이 더해가는 통합진보당 사태는 이로써 새로운 변곡점을 맞았다.

민주노총은 통합진보당의 전신인 민주노동당 시절부터 진보정당을 지탱해온 중요한 기반이었다. 실패를 거듭해온 한국의 진보정당 운동이 1997년 ‘국민승리 21’에 이어 2000년 민주노동당 창당으로 결실을 맺은 것도 민주노총의 조직적인 참여가 결정적 전기였다. 그 뒤 민주노총은 ‘민주노총당’이라는 비아냥이 나올 정도로 각종 조직적 지원 활동을 통해 당의 최대 후원자 노릇을 해왔다. 민주노총의 통합진보당 지지 철회는 이런 시대가 막을 내렸음을 의미한다.

민주노총이 통합진보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것은 두말할 나위 없이 이석기·김재연 두 의원의 제명안 부결로 당의 자체 혁신이 물건너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은 지난 5월17일 ‘조건부 지지철회’ 방침을 밝히며 통합진보당을 압박했으나 당내 구당권파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 상황을 이 지경까지 이르게 한 구당권파들의 책임은 실로 막중하다.

민주노총의 결정으로 통합진보당 분화가 가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되면서 ‘진보정치의 재구성’은 더욱 절실한 과제로 떠올랐다. 하지만 단순한 헤쳐모여식 이합집산은 해답이 아니다. 진보정치가 총체적으로 외면받는 현실에서 진보정치 세력과 노동계 각자가 뼈를 깎는 성찰과 혁신 노력을 하지 않고서는 진보의 재구성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사실 진보정당이 애초 표방했던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꿈은 더욱 멀어져만 가고 있다. 민주노총 조합원이 통합진보당 당원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전체 조합원의 3~4% 수준에 불과하다. 더욱이 비정규직 등 주변부 노동자가 일하는 사람의 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대기업 정규직 노동자 중심, 그것도 민주노총 상층부 중심의 노동정치는 극명한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어찌 보면 통합진보당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데는 민주노총의 책임도 적지 않다.

따라서 민주노총의 통합진보당 지지 철회는 노동과 진보정치 세력 간의 관계 단절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관계 정립을 위한 출발점이 돼야 한다. 사회 소외세력에 어떻게 더 가깝게 다가가 이들을 정치적으로 대변할 것인가, 현장의 노동자들을 정치의 구경꾼으로 방치하지 않을 방법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잃어버린 대중의 신뢰를 되찾을 것인가 등 진보정치를 원점에서 재구성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내용들은 너무나 많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