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26 19:15 수정 : 2012.08.26 19:15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를 뽑기 위한 당내 경선이 차질을 빚고 있다. 손학규·김두관·정세균 후보가 모바일투표 방식에 이의를 제기하며 경선 일정 중단을 요구한 것이다. 이에 따라 어제 열린 울산지역 경선은 3명의 후보가 불참한 가운데 파행했다. 이번 사태로 올해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루려던 민주통합당은 적지 않은 타격을 받게 됐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은 모바일투표 방식 때문이다. 후보 4명의 이름을 다 듣지 않고 투표한 뒤 전화를 끊으면 미투표로 처리한 게 사태의 발단이 됐다. 이런 방식은 기호 4번인 문재인 후보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다는 게 나머지 세 후보의 주장이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는 후보들의 기호가 정해지기 전에 이미 합의한 방식이라고 한다. 사전에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설계된 방식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네 후보의 이름을 다 듣지 않고 투표해도 유효표로 인정한다는 등의 보완책을 만들면 충분히 풀어갈 수 있는 사안이다. 이미 실시한 모바일투표에 대해서도 미투표로 처리된 것은 재투표를 하게 한다든지 아니면 재검증해 유효 처리할 수도 있다. 경선의 공정성만 담보할 수 있다면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가능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민주당 경선 선관위도 세 후보의 주장을 일정 부분 수용해 타협의 여지가 없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문재인 후보를 제외한 나머지 세 후보가 그들의 주장이 완전히 관철되지 않았다고 어제 경선 일정에 불참한 것은 성급하고 무책임한 처사다. 아마도 그제 열린 제주 경선에서 세 후보가 자신들의 예상보다 턱없이 부족한 득표를 한 게 가장 큰 원인인 모양인데, 이는 온당치 못하다. 물론 불공정한 모바일투표 방식으로 자신들이 손해를 본 측면이 있긴 하겠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풀어가야 할 문제이지 경선 일정 자체를 중단하면서까지 밀어붙일 사안은 아니라는 말이다.

민주통합당 지도부와 경선 선관위의 책임도 적지 않다. 그동안 모바일투표를 둘러싼 많은 우려가 제기됐음에도 실제 투표 때 어떤 문제가 벌어질지 꼼꼼히 검증하지 못함으로써 이번 사태의 불씨를 제공했다. 그리고 지도부는 일이 벌어진 뒤 이를 제때 적절히 관리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사태를 악화시켰다. 민주통합당은 이번 경선에서 새롭게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줘도 국민의 관심을 끌지 말지 모르는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런 실망스런 행태나 보이고 있을 만큼 한가롭지 않다. 세 후보는 하루빨리 경선에 참여해 당당히 겨루는 모습을 보이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