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8.27 19:08 수정 : 2012.08.27 19:08

젊은이 46명의 목숨을 앗아간 천안함 사건이 발생한 지 2년 반이 지났지만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정부는 4개국(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과 국내 12개 민간연구기관 및 군에서 총 73명의 전문가가 참가한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를 통해 북한 어뢰에 의한 격침이라고 발표했다. 그럼에도 국내외에서 이를 반박하는 주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가 합조단의 결론을 바탕으로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규탄 결의안을 추진하다가 실패한 것은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고려 때문만이 아니다. 본질적으론 우리 정부가 북한의 공격과 천안함 사건을 확실하게 연결짓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탓이 크다. 심지어 미국 중앙정보부 한국지부장과 주한대사를 지낸 도널드 그레그 같은 이도 합조단의 결론을 불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정권과 보수세력들이 합조단의 발표를 신성시하며 이에 대한 반대나 비판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야당이 헌법재판관 후보로 추천한 조용환 변호사가 ‘정부의 발표를 신뢰하지만 확신할 순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는 이유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이 국회 인준투표에서 부결시킨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정부의 발표를 기본적으로 신뢰하지만 의문을 풀어주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한 안철수씨에 대해, 보수언론들이 벌떼같이 달려들어 난타를 가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가운데 김소구 한국지진연구소장 등이 지진파와 공중음파, 수중음파를 분석한 결과, “천안함이 기뢰 폭발로 침몰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순수·응용 지구물리학>이란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김 소장 등은 수중폭발로 인한 지진 규모로 볼 때 “1970년대 해군이 설치했다가 버려둔 육상조종기뢰의 폭약량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북한 어뢰가 아니라 우리 쪽의 기뢰에 의한 수중폭발일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김 소장 등의 논문은 지진파 등을 이용한 과학적 분석의 산물이고, 전문 평가위원들의 검토를 거쳐 게재됐다는 점에서 가벼이 볼 수 없는 주장이다.

물론 김 소장 등의 논문이 천안함 사건의 원인을 완전히 해명하고 있는 건 아니다. 재미 과학자인 김광섭·이승헌·양판석 박사처럼 어뢰에 붙은 알루미늄 흡착물 분석을 통해 정부의 결론과 다른 의견을 제기하는 쪽도 있다. 문제는 정부가 이런 문제제기를 정치적 목적을 위해 외면하고 있는 점이다. 사고 원인 규명은 신념이 아닌 과학이 할 일이다. 정부는 이제라도 다른 의견을 가진 이들도 참여하는 조사단을 다시 꾸려 ‘천안함의 진실’을 밝혀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