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04 20:42 수정 : 2005.08.04 20:42

사설

최근 일본의 정치·사회적 변화를 우경화로 규정하는 것은 거의 상식이 됐다. 보수 정치권의 평화헌법 무력화 시도나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미화하는 일부 각료들의 잇따른 망언 등 바깥으로 나타난 흐름을 보면 그런 분석에 이의를 달기는 어려울 것이다. 한편으로 일본의 침묵하는 다수는 보수 정치권의 우경화 음모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우지 않을 뿐이지, 결코 동조하는 것은 아니라는 해석도 나름대로 설득력 있게 제기된다.

이런 우경화 논란의 와중에서 일본의 양식이 분명히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소식이 날아왔다. 일본의 극우세력들이 만든 후소사판 역사교과서의 채택률이 애초 우려했던 것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전국 교육구 584곳 가운데 절반이 넘는 300곳에서 채택작업이 끝났는데, 이 역사왜곡 교과서를 선택한 교육구는 한 곳뿐이라고 한다. 이 교과서의 채택을 저지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는 시민단체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워크 21’의 다와라 요시후미 사무국장은 이달 말까지 채택률을 1% 안에서 묶는 공방전이 전개될 것으로 내다봤다.

역사왜곡 교과서의 채택률을 10%대로 올린다는 목표 아래 오래 전부터 조직적으로 움직인 극우세력들의 기세가 꺾인 데는 동아시아 시민단체들의 활발한 연대활동이 상당히 기여했다. 한·중·일 세 나라 전문학자들은 지난 5월 세계 최초의 공동역사 교재인 <미래를 여는 역사> 간행에 성공했다. 한국 시민단체들은 시민의 성금을 모아 일본 매체에 역사왜곡 교과서 거부를 호소하는 광고를 여러 차례 실었다. 하지만 저지 운동의 주력은 무엇보다도 일선 교육 현장에서 끈질기게 활동한 일본의 시민운동가들이다. 이들이 마지막까지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선전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