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9.14 19:02 수정 : 2012.09.14 19:02

댜오위다오(일본 이름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이 예사롭지 않게 전개되고 있다. 자칫 물리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직접적 계기는 이 섬에 대한 일본의 국유화 조처다. 이번 갈등은 2년 전 일본의 중국 어선 나포 및 선장 구류 사건 때보다 강도가 훨씬 세다. 그때엔 중국이 선장 구속에 희토류 수출 중단이라는 보복 조처로 맞서면서 긴장이 고조되다가 일본이 선장을 석방함으로써 갈등이 가라앉았다.

일본 정부는 지난 10일 실효지배하고 있는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했다. 극우 성향의 이시하라 신타로 지사가 이끄는 도쿄도가 이 섬을 사들이려 하자, 노다 요시히코 내각이 중국과 마찰을 덜 일으키고 갈등 관리를 할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국유화 조처를 단행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이를 현상 타파로 보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즉각 외교부 성명을 내어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의 성과를 부인하는 것이고, 전후 국제질서에 대한 엄중한 도전”이라고 비난하고, 이 섬을 영해기선으로 선포했다. 일본의 국유화 조처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중국의 대응은 말을 넘어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어제는 중국 해양감시선 몇 척이 댜오위다오 12해리 안으로 진입해 순찰활동을 벌였다. 한-일 간 독도 갈등에 비유하자면, 일본의 해안 경비정이 독도 12해리 안에 들어온 셈이다. 언제라도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또 중국은 일본산 제품의 불매운동 등 경제보복 조처도 내비치고 있다. 군부는 한 치의 땅도 양보할 수 없다며 ‘전쟁 준비’까지 언급하는 지경이다. 더 심각한 것은 민간 차원으로 반일감정이 퍼지면서 중국에 거주하거나 여행하는 일본인들이 폭행당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점이다.

중국과 일본은 동북아 지역뿐 아니라 세계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국이다. 중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제2의 정치·경제 대국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다. 일본은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자 세계 주요 8개국(G8)의 유일한 아시아 회원국이다. 두 나라는 이런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책임감을 가지고 더 이상의 확전을 자제하기 바란다. 특히, 두 나라 지도자는 어떤 경우에도 맹목적 국수주의의 분출 속에서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이웃 강국 사이의 갈등은 우리에게도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니만큼 우리도 화해 분위기 조성을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먼저 독도 갈등을 촉발한 것은 못내 아쉽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