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9.18 19:15 수정 : 2012.09.18 19:15

어제는 일본이 유조구 사건을 조작해 만주사변을 일으킨 지 꼭 81년이 되는 날이었다. 중국인들은 평소에도 이날을 국치일로 여겨 ‘잊지 말자, 9·18의 치욕’을 되뇌곤 했다. 올해는 센카쿠열도(중국 이름 댜오위다오) 갈등까지 겹치면서 반일 분위기가 어느 때보다 후끈 달아올랐다. 정부부터 일반 시민까지, 지역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전 중국이 반일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정점은 중국 쪽이 마치 인해전술을 구사하듯 1000척의 어선을 센카쿠 쪽으로 출발시킨 것이다.

갈등의 실마리를 먼저 제공한 쪽은 일본이다. 일본의 노다 요시히코 정권은 중국의 잇단 경고에도 불구하고 센카쿠열도를 국유화해 중국을 자극했다. 극우성향의 이시하라 신타로가 이끄는 도쿄도가 매입해 무분별한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차단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으나, 중국으로선 현상을 깨는 행위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조처였다. 그런 점에서 중국이 비난성명을 내고 영해기선을 선포하는 등 정부 차원의 고강도 대응 조처를 취한 것은 이해할 만하다.

문제는 중국 정부 쪽의 반발이 일반인 수준까지 퍼지면서 정부가 질서있게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중국의 일부 지역에선 일본 사람과 일본 기업에 대한 폭행·폭력 사례가 여럿 나왔다. 센카쿠열도 주변에서도 어선의 영해 진입을 놓고 자칫 중-일 경비정 사이에 물리적 충돌이 벌어질 수 있다. 아직까지는 중국의 공세와 일본의 자제 양상으로 사태가 전개되고 있으나 언제 어떤 사고가 나 양국간 민족주의 대결로 비화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영토 문제를 외교적 방법으로 푸는 일은 지극히 어렵다. 1978년 중-일 평화우호조약을 맺으면서 당시 덩샤오핑 부총리가 센카쿠 갈등과 관련해 “다음 세대는 우리보다 훨씬 지혜로우니까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좋을 방법을 찾아낼 것”이라며 문제를 뒤로 미룬 것도 이런 사정을 고려한 것일 게다.

지금 중국이 구사하고 있는 해법은 덩이 말한 지혜보다는 힘의 논리에 치우쳐 있다. 지역 및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나라의 모습으로선 아쉬운 감이 있다. 과열된 감정을 자제하고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길 바란다. 일본도 센카쿠 문제의 근원이, 독도가 러일전쟁과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청일전쟁에 있다는 점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역사 청산 차원에서 접근하길 바란다. 센카쿠와 독도 갈등에서 공통으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현상 타파나 민족주의를 앞세워선 영토 문제를 풀 수 없다는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