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조컨설팅 ‘권력기관 유착’ 국정조사 하라 |
‘노조 파괴’ 공작을 일삼은 노무법인 창조컨설팅이 고용노동부, 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여러 권력기관과 협력한 흔적들이 드러나고 있다. 정부가 노사갈등에서 중립성을 지키기는커녕 기업 쪽을 일방적으로 편들어왔다고 의심하게 하기에 충분한 대목이다. 창조컨설팅과 권력기관들의 유착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 공정하고 중립적인 노사관계가 자리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어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산업현장 용역폭력 청문회에선 창조컨설팅과 정부기관들이 긴밀한 협조관계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단서들이 쏟아져 나왔다. 이 회사가 작성한 유성기업 관련 대외비 문건에는 류경희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을 비롯해 정아무개 국가정보원 처장, 김아무개 경찰청 경정, 정아무개 노동부 사무관,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등의 전자우편 주소가 적혀 있다. 또 ‘유성기업 쟁의행위 경과 및 노사동향’이라는 자료도 등장한다. 그뿐만 아니라 회사 쪽은 ‘노사관계 안정화 컨설팅 제안서’ 등을 통해 “노동부, 경찰청, 국정원, 검찰 등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협력체계”를 자랑하고 있다.
문건에 등장하는 류 행정관 등은 해당 기관에서 노사문제를 다루는 핵심 당사자들이다. 창조컨설팅이 유성기업 사태 등에서 정부기관과 정보를 공유해온 것 아니냐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특히나 청와대가 리스트에 포함된 것은 놀라운 일이다. 만약 청와대까지 노무법인과 한통속이었다면 이명박 정부는 철저하게 반노동적·친기업적 노사정책을 펼쳐왔다는 비판을 피할 길이 없다. 이처럼 든든한 ‘뒷배’가 있었기에 창조컨설팅은 겁도 없이 불법적인 노조 파괴 공작을 저질렀는지 모른다. 한마디로 기가 찰 노릇이다.
정부기관과 창조컨설팅의 유착 의혹이 불거진 이상 노동부는 창조컨설팅이 저지른 노조 파괴 공작의 실체를 파헤칠 자격을 상실했다. 노동부의 창조컨설팅 감사는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격이나 마찬가지다. 국회가 국정조사를 실시해 노조 파괴 공작과 권력기관 유착 의혹의 실체를 따지는 것이 옳다. 아울러 청문회 증인인데도 불출석한 심종두 창조컨설팅 사장도 엄히 처벌해야 마땅하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