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9.26 19:09 수정 : 2012.09.26 19:09

<문화방송>(MBC)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김재우 이사장의 박사학위 논문에 대해 학위를 준 단국대가 최근 “표절 혐의 정도가 중하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학술단체협의회가 지난달 “심각한 수준의 표절”이란 취지의 소견서를 내놓은 바 있어 이미 예상됐던 결과다.

그런데 김 이사장은 최소한 대통령 선거 때까지 물러날 생각이 없는 모양이다. 앞으로 4개월 가까이 더 걸리는 본조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이는 김 이사장이 표절 사실을 시인하지 않고 버티기 때문이라고 한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양해와 비호가 없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실제 그가 대선 때까지 버틴다면 그 책임은 이명박 대통령뿐 아니라 새누리당의 전권을 쥔 박근혜 후보에게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여야가 지난 6월 국민 앞에서 공개적으로 한 약속을 정면으로 깨는 일이기 때문이다.

단국대 윤리위원회는 지난 24일 김 이사장의 경제학 박사학위 논문에 대해 “표절 정도가 중하며 학계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30일 안에 위원회를 만들고 다시 90일 안에 결과를 내놓는 본조사 절차를 밟는 건 김 이사장이 표절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야는 지난 6월 ‘방문진 새 이사회가 방송의 공적 책임과 노사관계에 대한 신속한 정상화를 위해 합리적 경영판단과 법 상식, 순리에 따라 처리되도록 협조한다’고 합의한 바 있다. 국민들도 사실상 김재철 사장을 바꾼다는 뜻으로 이해했고 야당도 그래서 국회 개원에 응했을 것이다. 국회 개원이 아쉬울 때는 약속해놓고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한다면 대국민 사기다.

문화방송 노조는 엊그제 보고서를 내고 지난 2개월여 <뉴스데스크>를 분석한 결과, 박근혜 후보의 과거사 문제는 357초, 안철수 후보 개인 문제는 584초를 다루는 등 편파성이 두드러진다고 평가했다. 무더기 해고와 징계뿐 아니라 간판프로 <피디수첩>이 8개월째 불방되고 시청률이 하락하는 등 김재철 사장 체제는 낙제점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을 모를 리 없는 박 후보가 여야 합의를 깨고 김재우-김재철 체제를 내버려두는 건 대선에서 덕을 보겠다는 얘기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 박 후보가 내세우는 ‘원칙’ ‘신뢰’와는 동떨어진 행태다. 국민들이 이를 모를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5·16과 유신시대에 대한 사과가 진정성 있는 것이라면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하는 편파방송의 덕을 보겠다는 생각도 과감히 털어버려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