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본격적인 검증 시험대 오른 안철수 후보 |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의 부인 김미경 서울대 교수가 지난 2001년 아파트를 사면서 실거래가보다 신고가격을 낮추는 ‘다운계약서’를 작성한 사실이 밝혀졌다. 김 교수는 서울 송파구 문정동 아파트를 구입하면서 당시 시세의 절반 정도인 2억5000만원으로 계약서를 작성했으며, 최소 1100여만원의 취득세와 등록세를 탈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아파트 거래가 이뤄진 2001년 당시만 해도 관련 세법 규정은 실거래가가 아니더라도 시가표준액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해 신고할 수 있게 돼 있었다. 다운계약서 작성이 절세를 위한 관행처럼 광범위하게 이뤄지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안 후보의 도덕적 흠이 덮어지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안 후보는 저서 <안철수의 생각>에서 “탈세가 드러날 경우 일벌백계로 엄중히 처벌해서 세금을 떼먹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말까지 했으니 ‘말과 행동이 다르다’고 비판해도 할 말이 없어 보인다. 이런 점에서 안 교수 쪽이 곧바로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한 것은 잘한 일이다.
사실 안 후보의 도덕성과 정직성 등에 대한 대중의 기대는 역대 어느 대선후보와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어느 면에서 그는 무결점의 인간으로까지 비쳐온 게 사실이다. 그것이 대중의 환상이라고 해도 도리가 없다. 정치와는 담을 쌓고 지내온 안 후보가 일순간에 대선후보 반열에 오르게 된 이유 중 하나도 이런 이미지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조그만 흠 하나에도 유권자들이 쉽게 실망하고 등을 돌릴 가능성도 있다. 그것은 안 후보가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할 업보이기도 하다.
안 후보에 대한 검증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전혀 공직을 맡은 적도 없어 검증의 강도도 다른 후보들에 비해 훨씬 셀 것이다. 이런 혹독한 검증의 시험대는 그가 대선 고지에 이르기 위해 필연적으로 통과해야 할 관문이다. 따라서 안 후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변명을 앞세우지 않고 진솔하고 정정당당하게 임하는 자세다. 어떤 도덕적 흠이 대통령 결격 사유에 해당하는지는 결국 유권자들이 판단할 것이다.
안 후보의 다운계약서 사건에 호재를 만났다는 듯이 융단폭격을 가하고 나선 새누리당도 명심해야 할 대목이 있다. 검증을 명목으로 한 과도한 네거티브 공세는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오게 돼 있다. 사실 상속세니 증여세니 하는 시시콜콜한 문제들을 모두 도마 위에 올려놓고 따지면 박근혜 후보도 별로 유리할 게 없어 보인다. 절제하고 삼가는 자세가 새로운 선거풍토 조성은 물론 새누리당한테도 도움이 될 것임을 유념하기 바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