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0.15 19:10 수정 : 2012.10.15 19:10

내곡동 사저 의혹 사건을 수사할 이광범 특검팀이 오늘부터 수사에 들어간다. 이번 특검은 현직 대통령을 상대로 한다는 점에서 책임이 막중하다. 청와대는 특검 선정 단계부터 이 특검이 우리법연구회 출신이라며 재추천을 요구하는 등 ‘위축효과’를 노린 듯한 상식 밖의 행태를 보였다. 이 특검은 어제 “어떤 금기나 성역도 있을 수 없다”고 밝힌 대로 이런 정치공세에 흔들려선 안 된다.

이번 특검의 과제는 크게 보아 두가지다. 이명박 대통령과 가족 등의 배임 및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여부가 하나라면, 나머지 하나는 이 사건을 처음 수사한 검찰의 축소·왜곡 수사 등 직무유기 여부다.

우선 이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씨를 비롯한 청와대 쪽이 검찰에 밝힌 해명의 허구성을 파헤치고 책임자를 밝혀내야 한다. 검찰은 이들의 해명이 “아귀가 맞는다”고 했으나 기본상식만 있어도 모순투성이임을 알 수 있다. 김인종 전 경호처장은 검찰에서 “(주인이 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릴 것을 우려해) 일단 아들 이름으로 계약하고 나중에 이름을 돌리기로 했다”고 진술했다. 그렇다면 이시형씨가 자기 집도 아닌데 큰아버지 이상은씨한테 연이자 5%까지 부담하면서 6억원을 빌릴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다. 오히려 이 대통령이 내곡동 사저를 아들에게 편법으로 물려주려다 문제가 터지자 사후에 말을 맞춘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

검찰의 축소·왜곡 수사의 실마리는 최교일 서울중앙지검장의 발언에서 찾을 수 있다. 수사 최고책임자가 제 입으로 ‘대통령 일가로 불똥이 튀는 걸 염려해 땅 매입 실무자를 무혐의 처분했다’고 발언했으니 그 이상 명백한 증거가 어디 있겠는가. 사후에 이를 부인하긴 했으나 여러 정황을 종합하면 최 지검장의 처음 발언이 진실에 가까워 보인다. 이시형씨를 소환조차 않고 서면조사로 끝낸 것이 대표적이다. 특히 서울중앙지검 차장 시절 법원의 중재에 응해 세금반환소송을 취하한 정연주 전 한국방송 사장까지 배임죄로 기소한 최 지검장이 배임 혐의가 훨씬 뚜렷한 사안을 무혐의 처리했으니 봐주겠다는 의도가 아니고서야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축소·왜곡 수사가 최 지검장 선에서 결정됐을 리 만무하다. 한상대 검찰총장 등 수뇌부에 대해서도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현직 검찰의 범죄를 파헤치는 데 파견 검사나 검찰 출신 특검보 등이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지혜를 발휘하는 것도 이 특검의 과제다. 이 대통령과 가족을 포함한 청와대 인사들 또한 특검의 조사에 성실히 응하는 것만이 국민들의 분노를 사지 않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