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1.07 19:15 수정 : 2012.11.07 19:15

대선 후보들의 공약 중에 문화예술 정책이 없다. 눈을 씻고 봐도 보이지 않는다. 지난달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책·공약 알리미 사이트에 오른 각 후보의 10대 공약 어디에도 없다. 보름쯤 지난 지금도 관련 정책을 보완한 후보는 없다. 안철수 후보의 교육부문 공약에 달랑 ‘문화예술 콘텐츠 지원’ 한 줄 걸친 게 고작이다. 물론 앞으로 나오겠지만, 이번 대선 후보들에게도 문화는 여전히 우선순위가 한참 뒤지는 우수마발이다.

어제 ‘책읽는 나라 만들기 국민연대회의’라는 긴 이름의 모임이 결성됐다. 지식·출판계 사람들의 정치적 이념과 성향을 떠난 결집체다. 이들이 이를 통해 지식문화사회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을 촉구한 것은 이런 까닭이다. 경제민주화도 좋고 복지도 좋지만, 삶의 질 향상과 지식문화경제 확충에 결정적인 문화예술 정책의 실종을 우려한 것이다. 지식문화의 근본인 출판만 보더라도, 단행본 초판 인쇄는 예전 3000부에서 지금은 500부로 떨어졌다. 도서관마저 양서가 아니라 싼 책 위주로 서가를 채운다. 학교에선 교과서를 전자책으로 대체한다. 공연예술 분야도 기아선상에서 허덕이는 예술인의 희생 위에서 명맥을 유지하긴 마찬가지다.

문화예술은 정치·경제·사회의 장신구가 아니다. 선거캠프는 문화예술인 멘토 그룹을 구성해 자랑하는 데 열성이다. 후보는 시간을 쪼개 공연장 등을 찾아 관심을 표했다. 이외수씨 등 명사를 모시는 데는 직접 앞장섰다. 그러나 정작 주요 10대 공약엔 어디에도 문화 정책이 없다. 문화예술을 장신구로 여기고, 문화예술인의 인기만 이용하려는 것 아닌가 싶은 건 이런 까닭이다.

불행한 일이다. 문화는 오늘날 창의경제 시대의 보조가 아니라 주역이다. 문화적 감각이나 정신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서비스건 제품이건 살아남을 수 없다. 나아가 몰가치적 산업사회에서 인간의 자존감과 존엄성을 되찾게 하고,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여주는 건 바로 문화다. 인간 중심의 사회는 경제와 복지 그리고 문화가 함께 이끌어가는 것이다. 문화창조력의 제고, 문화 향수권의 확대, 문화경제의 강화를 놓고 후보들의 본격적인 경쟁을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