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1.11 19:25 수정 : 2012.11.11 19:25

검찰과 경찰이 ‘비리 검사’ 수사를 놓고 정면충돌하고 있다. 경찰이 현직 검사의 비리 혐의를 수사하고 있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자, 검찰이 곧바로 특임검사를 임명해 자체 수사에 나섰다. 한 사건을 놓고 검찰과 경찰이 이중수사를 벌이는 희한한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이에 대해 경찰은 ‘제 식구 감싸기’를 위한 검찰의 수사 가로채기라며 강하고 반발하고 있다. 배경엔 검경 수사권 조정을 둘러싼 양 기관의 갈등이 있겠지만, 이번 경우는 경찰 쪽의 주장에 일리가 있어 보인다.

김수창 특임검사는 출근 이틀째인 어제, 서울고검 ㄱ 검사와 수상한 돈거래를 한 유진그룹 등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을 했다. 수사팀도 특임검사 1명에, 부장급 검사 1명, 검사 8명, 수사관 15명이라는 초대형이다. 이제까지 두 차례 있었던 2010년의 ‘그랜저 검사’, 지난해의 ‘벤츠 검사’ 때의 특임검사 수사팀은 검사 수가 고작 4명이었다. 겉모습만 보면, 검찰의 자정 의지가 철철 넘쳐흐르는 것 같다.

하지만 이번의 특임검사는 여론의 지지를 받기도 힘들고, 진정성도 느끼기 어렵다. 명분도 없다. 경찰이 오랜 기간에 걸쳐 다단계 판매 사기범 조희팔씨의 자금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ㄱ 검사의 비리 혐의가 포착된 것인데, 검찰이 검사 비리 부분이 포함되었다고 해서 특임검사를 임명해 수사하겠다고 하는 건 조직 보호 외에 다른 이유로 설명하기 어렵다. 앞선 두 특임검사의 사례가 모두 언론 보도나 진정 사건을 수사한 것이지만, 이번 특임검사는 경찰이 수사하고 있는 사안을 수사하겠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경찰의 검사 수사를 믿지 못하겠으니까 직접 수사하겠다는 것인데, 검사가 검사를 수사하는 걸 더 못 믿겠다는 게 민심이라는 걸 검찰만 모르는 걸까.

이 사건이 아니더라도 검찰의 신뢰는 이미 바닥에 떨어진 지 오래됐다. 촛불시위, 피디수첩, 미네르바 사건, 한국방송공사 정연주 사장 사건 등에서 보듯 정권의 입맛에 따라 기소권을 남용하면서 정치검찰의 굴레를 자청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이제 ‘축재 검찰’의 오명마저 뒤집어쓰게 됐다. 검찰은 왜 여야 대선 후보들이 이구동성으로 검찰 개혁을 차기 정부가 추진할 최우선 과제로 들고 있는가를 무거운 마음으로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검찰이 그나마 신뢰를 얻으려면 수사 방해나 제 식구 감싸기 의혹을 살 수밖에 없는 특임검사 수사를 포기해야 한다. 대신 경찰의 수사를 지켜보고 범죄 혐의가 드러나면 엄벌에 처하겠다는 겸허하면서 단호한 자세를 취해야 마땅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