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1.19 19:27 수정 : 2012.11.20 10:18

이광범 특별검사팀의 내곡동 사저 헐값 매입 사건 수사는 끝났으나 이명박 대통령 일가의 재산을 둘러싼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대통령 아들 이시형씨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전세대금 7억여원 중 3억8100만원이 청와대 직원들한테서 나온 것일 뿐 아니라 사용된 돈 가운데 1억4000만원은 ‘1만원짜리 구권 화폐’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 2008년 비비케이 특검 당시 130억원대 비자금이 발견된 데 이어 이번에 다시 미심쩍은 돈의 흐름이 확인됨에 따라 이 돈이 혹시 이 대통령의 비자금이 아니냐는 의심이 강하게 제기되는 것이다.

특히 이 대통령의 특검 수사기간 연장 거부는 이런 의혹을 부채질했다. 이광범 특별검사팀은 지난 9일 법원에서 청와대 직원들에 대한 계좌추적 영장을 받아 계좌추적을 막 시작하려 했으나 대통령이 수사기간 연장 승인을 거부하는 바람에 전세금 출처 확인이 무산됐다. 이미 두 차례의 특검 수사를 통해 의문의 비자금 단서들이 확인된 이상 그냥 덮어두고 넘어갈 수는 없는 일이다. 어떤 형태로든 국민 여론을 모아 투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특검팀은 이시형씨가 큰아버지인 이상은 ㈜다스 회장한테서 받았다고 주장한 현금 6억원의 자금원을 추적하다 전세금의 출처를 알게 됐다고 한다. 이 대통령 부인 김윤옥씨의 측근 설아무개씨가 2010년 시형씨의 서울 삼성동 아파트 전세금으로 6100만원을 송금했고, 주아무개 청와대 재정팀장 등 청와대 직원 6명이 전세 잔금 3억2000만원을 지급한 사실도 확인했다. 특히 이 가운데 1억4000만원이 1만원짜리 구권 화폐였던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비자금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구권 1억4000만원’은 이 대통령 쪽이 따로 보관해온 현금으로 보는 게 상식에 맞는다. 한국은행이 2007년 1월 신권을 발행하면서 구권 발행을 중단해 2008년 2월 이후엔 은행 등 금융기관을 통해서도 구권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 부부는 취임 뒤 예금만 매년 1억7776만~4억938만원씩 신고했을 뿐 현금은 따로 신고한 적이 없는 것도 이런 해석을 뒷받침한다. 또 특별검사팀이 이시형씨의 행적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당일 이상은씨한테서 6억원을 빌렸다는 주장도 거짓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만일 이 대통령이 별도의 비자금을 감춰뒀다면 2007년 대통령 선거 당시 재산신고를 허위로 한 것이고, 시효를 고려하면 퇴임 뒤 3개월여 안에 선거법 위반에 대한 기소 여부가 결정돼야 한다. 여야 정치권과 대선 후보들도 더이상 모르쇠로 넘길 일이 아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