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0 20:16 수정 : 2005.08.10 20:16

사설

형제 사이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하나씩 벗겨지고 있는 두산그룹의 이면은 국민을 씁쓸하게 한다. 재벌체제의 불합리를 그대로 보여준다. 박용오 전 회장 쪽의 폭로로 제기된 비자금 조성 의혹과, 두산산업개발(옛 두산건설)의 대규모 분식회계에 이어, 이번에는 총수 일가가 두산산업개발 유상증자 참여를 위해 대출한 돈 293억원에 대한 5년 동안의 이자 128억원을 회사가 대신 내준 일까지 드러났다.

증자에 참여한 일가 28명 중에는 학생과 전업주부 등 소득이 없는 이들이 수두룩하다. 이 중 115억원은 최근 갚았다는데, 형제 싸움 과정에서 밖으로 알려질 듯하자 그렇게 한 것이란 게 지배적 관측이다. 임직원한테도 회삿돈을 빌려줘 주식을 사게 한 뒤 주식처분 권한을 회사에 위임하게 하는 방법으로 총수 일가의 지배권을 떠받쳤다. 그 돈의 이자 역시 회사가 떠안았다.

기업윤리를 다시금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외환위기 직전에 몰락한 한 중견 재벌급 총수는, 외국에 있는 가족의 생활비와 유흥비까지도 법인카드로 처리한 게 입길에 오르자 ‘다들 그러는 것 아니냐’고 했다고 한다. 두산의 이자 대납도 기업 돈을 쌈짓돈처럼 쓰는 도덕적 해이를 그대로 보여준다. 물론 두산만의 일일까 하는 의문도 생긴다. 그렇지 않길 바랄 뿐이다.

박용성 회장 개인의 거취 문제도 거론할 때가 된 것 같다. 재계 마당발로 통하는 그는 60여 가지 공식 직함을 갖고 있다. 다른 건 몰라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직은 스스로 내놓는 게 좋겠다. 박 회장 자신은 결백하다고 주장하지만, 이자 대납건에 이르기까지 도덕적 상처가 너무 깊다. 기업윤리 문제로 도마에 오른 그룹의 총수가 한국 기업인을 대표한다고 하면 나라 밖에서 우리 기업을 어찌 보겠나.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