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2.11 19:17 수정 : 2012.12.11 19:17

서울시교육감 재선거가 문용린 후보 쪽 지지자들의 탈·편법 선거운동과 문 후보 자신의 마구잡이 색깔론으로 급속히 혼탁해지고 있다. 특히 공공연한 지지자 중에는 선거법 및 국가공무원법상 지지·반대 의사를 표명할 수 없는 이들이 포함돼 있고, 일부 인사는 다른 후보에게 사퇴 압박 등 선거의 자유까지 침해했다고 한다. 다른 어떤 선거보다 자유롭고 공정해야 할 교육감 선거를 이렇게 타락시키는 이들에 대해서는 엄격한 법적 제재가 따라야 할 것이다.

남승희 후보가 당한 경우는 주목할 만하다. 남 후보 말로는 후보 등록 후 지금까지 10차례 사퇴 협박을 받았으며, 수행원들이 목검을 들고 다닐 정도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다고 한다. 그동안 여러 공직선거에서 진보·보수 후보의 단일화를 재촉하는 움직임은 있었지만, 이처럼 신변에 위협을 느낄 정도로 압박을 받은 경우는 보기 드물다. 민주주의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위에 성립한다면, 선거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입후보자에게 사퇴를 압박하거나, 유권자의 주권 행사를 방해하는 행위는 민주주의 수호 차원에서 뿌리뽑아야 한다.

게다가 엊그제 문 후보를 지지한다고 선언한 단체와 개인 명단에는 교원단체, 언론사, 친목회 등 선거운동이 금지된 단체와 개인이 포함돼 있다. 특히 교육계에선 현직 교장, 지역교장협의회들, 자유교원노조 등이 이름을 버젓이 올렸다. 이문열 작가처럼 무단으로 명의를 도용당한 경우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 권유에 따라 이름을 올린 경우다. 2008년 서울시교육감 선거 때 전교조 서울지부는 주경복 후보를 지원했다 하여 간부들이 무더기로 엄벌에 처해진 적이 있다.

문용린 후보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전교조와 이수호 후보에 대해 추잡한 색깔론 시비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교육정책을 놓고 대결하는 것이 아니라, 숫제 전교조와 대결하기 위해 나왔다고까지 공언한다. 전교조 행사에서 두 번씩이나 축사를 했던 사람이 바로 그다. 특목고까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사교육업체와의 유착 의혹을 피하려는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교육감 선거를 탈·불법과 이념투쟁의 장으로 변질시키는 것은 묵과하기 힘들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