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2.18 19:13 수정 : 2012.12.18 19:13

부모의 가장 큰 관심은 양육이고, 양육의 핵심은 교육이다. 의식주 이외에 가장 많이 지출하는 분야가 교육이다. 때문에 소득에 따른 교육 기회의 양극화는 피할 수 없다. 자녀의 명문대 진학률이 부모 소득에 따라 무려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건 그 결과다. 사정이 이런데도 선거에서 교육정책에 대한 주목도는 현저히 떨어진다. 이번엔 서울시교육감 재선거가 대통령 선거와 함께 실시돼 교육 공약 주목도가 높아질 법도 하지만, 정치적 이슈에 가려 이젠 교육감 선거 자체가 유권자의 시선에서 사라지고 있다.

우리 교육은 한때 산업화를 이끄는 끌차가 되었다. 하지만 창조지식사회로 전환해야 할 지금 우리 교육은 사회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학 및 고교 서열화와 초·중·고교의 입시교육이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 지성을 억누르는 까닭이다. 입시교육은 이밖에 사교육 의존도를 높여, 중간층의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게 한다. 상황이 이러니만큼 이번 대통령 선거와 서울시교육감 선거는 교육 역주행을 선순환으로 역전시킬 전기다. 교육 기회가 공정하고, 아이들 모두의 꿈과 적성을 키우고 다양한 진로를 열어주며, 상생과 협동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그런 학교로 바꾸고, 입시체계를 쇄신하고, 학교서열·학벌사회를 혁파하는 발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대선에선 교육 이슈가 사라지고, 교육감 선거에선 교육 외적인 정치적 시비가 후보의 자질과 정책 평가를 막고 있다. 일부 후보는 막판까지 선거를 전교조냐 반전교조냐로 몰고가, 비슷한 색깔의 다른 후보를 사퇴시키고, 자신의 사교육업체 유착 의혹, 교육 철새로서의 경력을 숨기려 한다.

교육은 국가 백년지대계에 앞서 민생의 핵심이다. 이명박 정권은 저 끔찍한 입시체제와 사교육의 올가미에 민생은 물론 초등생마저 묶어버렸다. 이제 유권자가 교육 행동에 나서야 한다. 오늘 투표로 그 역주행을 심판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