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문용린 교육감과 ‘행복교육’을 위한 학교혁신 |
문용린 새 서울시교육감이 어제 ‘행복교육의 원년’을 발표했다. 교육정책보다는 전교조에 대한 이념공세에 의존했던 선거과정은 유감스럽지만,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에 대한 그의 의지만큼은 기대를 걸게 한다.
선거과정에서 그가 곽노현 전 교육감의 정책이라면 덮어놓고 반대하는 모습은 실망스러웠다. 평소 그는 진보, 보수 혹은 전교조, 교총 등 어느 한쪽으로의 치우침을 경계하고, 학교에 대한 교육 외적 개입을 거부하는 편이었다. 학생인권조례이나 혁신학교에 대해서도 일부 조정의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기본방향에는 동의했다. 교육자로서 소신과 원칙이 ‘행복교육’에 반영된 것 같아 다행스럽다.
사실 행복교육과 학교혁신, 학생인권은 동행하면 했지 충돌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들 행복은 인격체로 존중받는 데서 출발한다. 아이들을 무조건 단속과 지도와 통제의 대상으로만 여긴다면 행복을 기대할 수 없다. 일탈을 막고 교권을 침해하는 문제는 별도의 조처로 대응해야 한다. 그는 행복교육을 위해 작은 학교 만들기와 인·적성 특기교육을 강조했다. 사실 이런 목적에서 추진된 것이 바로 혁신학교다. 규모의 적정성을 유지하며,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키우고, 창의·적성을 개발하는 것이 혁신학교의 목표다. 이런 실험학교에 지원하는 교사라면, 그 열의를 존중하고 북돋워야지, 전교조 등 특정 교원단체 소속이라고 해서 백안시하는 것은 잘못이다.
학생인권조례나 혁신학교가 곽 전 교육감의 전유물도 아니다. 그보다 앞서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이미 실천에 옮긴 정책들이다. 문 교육감이 지적했듯이 행복교육의 열쇠는 성적 지상주의, 무한 경쟁을 지양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학교서열화와 입시교육의 쇄신에 힘써야 한다. 서열화를 부추기고 공교육을 위협하는 자사고·특목고 등에 대한 반성 없이 행복교육은 빈말에 불과하다.
문 교육감은 교육의 본질 회복을 강조했다. 정치나 이념 집단에 의해 교육이 좌지우지돼선 안 된다는 뜻이다. 사실 그건 과거 권위주의 정권들이 일삼았던 일이다. 이명박 정권 역시 편향된 이념과 주장을 교과과정에 관철하려고 무리를 범하다 교육계와 학계를 혼란에 빠뜨렸다. 문 교육감은 이런 압력과 시도를 철저히 막아야 할 것이다. 남은 임기는 짧지만, 그의 포부대로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과 학교교육 정상화의 기반을 다질 수 있기를 바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