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MBC 사태 해결로 국민대통합 의지 실천해야 |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앞에 놓인 과제 가운데 국민대통합이 가장 중요하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번 18대 대선을 통해 우리 사회의 갈등과 대립이 얼마나 격렬한지 뼈저리게 체험한 탓이다. 국민은 진보와 보수 진영으로 첨예하게 나뉘어 선거를 치렀다. 그 결과, 박 당선인을 지지하지 않은 절반에 가까운 유권자들의 상실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 그런 까닭에 선거가 끝난 뒤 박 당선인이 “저에 대한 찬반을 떠나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상생과 공생, 국민대통합을 강조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이제 박 당선인이 할 일은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갈등과 분열이 극심한 곳에서 통합을 일궈내 화합의 정신이 사회 곳곳으로 퍼지도록 해야 한다. 박 당선인이 <문화방송>(MBC)을 통합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새삼 거론할 필요가 없을 만큼 문화방송은 우리 사회에서 갈등의 대명사가 된 지 오래다. 국민의 다양한 생각을 전하고 교류시켜 소통을 이뤄내야 할 공영방송이 가장 심각한 불통 상태에 빠져 있다. 김재철 사장 재임 3년 동안 공정성·독립성 회복과 사장 퇴진을 요구하는 파업으로 해고 9명, 정직 82명, 감봉·감급 43명, 근신 30명, 대기발령 54명 등 227명(연인원)이 징계를 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방송이 공영방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란 애당초 불가능하다. 대선 개표 방송 시청률이 4.8%(티엔엠에스 집계)로 <에스비에스> 9.5%의 절반에 그친 것은 문화방송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박 당선인에게 문화방송 정상화는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 19대 국회 개원 협상 때 여야가 합의한 대로 문화방송 청문회를 개최하고 김 사장을 퇴진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박 당선인은 지난 7월 대선 후보 출마 기자회견에서 문화방송 파업 사태에 대해 “방송 언론의 공정성은 확보돼야 하고, 독립성이나 자율성도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박 당선인이 공약했던 공영방송 지배구조의 합리적 개선이 동시에 진행돼야 함은 물론이다.
문화방송 정상화는 박 당선인을 반대한 세력만의 바람이 아니다. 박 당선인을 지지한 많은 유권자도 김 사장의 비민주적·비상식적 경영 행태와 갖은 비리 의혹에 분노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는 엊그제 특별성명을 내어 “대통합의 인프라는 소통이다. 언론은 이 사회에 소통의 피를 돌게 하는 혈관이다. 이 혈관이 대립과 갈등의 찌꺼기로 막혀 있다면 대통합의 꿈은 요원하다”고 지적했다. 박 당선인이 새겨들어야 할 권고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