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2.24 19:08 수정 : 2012.12.24 19:08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인선과 정책 방향, 정국 운용 등을 놓고 숙고를 거듭하고 있다. 어느 정권이나 초기 몇 달이 이후 5년을 결정짓는다는 점에서 박 당선인의 고민은 깊을 수밖에 없다.

박 당선인이 정부 여당의 진용을 짜는 것 못지않게 초기 국정운영 구상에서 중시해야 할 문제가 대야 관계다. 출발부터 삐끗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는 것이 여야 관계이기 때문이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어제 “예산과 정책방향을 정하는 데 있어 야당 의사를 더욱 존중하고 국정의 동반자로서 함께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당의 입장이 아니라 당선인의 굳은 결심”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박 당선인은 선거 유세에서 “당선 직후부터 새 정부가 출범하기까지 여야 지도자가 만나 대한민국의 새 틀을 짜기 위한 국가지도자연석회의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정쇄신정책회의를 신설해 자신의 정치쇄신 공약뿐만 아니라 야권 후보의 공약 등 대선 과정에서 수렴된 의견을 실천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무슨 기구를 만든다고 해서 되는 건 아니지만 여야가 협력할 틀과 경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과거 정권의 예를 보면,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이나 집권 초기 야당과 협력할 듯한 모습을 잠시 보이다가 야당의 비협조를 핑계로 제 갈 길을 가는 일이 반복되곤 했다. 박 당선인이 정말 과거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싶다면 마음을 굳게 먹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말 국회의 예산 심의와 법안 처리 과정부터 최대한 대화와 타협의 자세를 보이는 게 필요하다.

새누리당 일각에서 “탕평과 통합이 좋지만 능력이 희생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국정원 여직원 불법댓글 의혹, 인권유린 사건에 대해 유화적 대응을 해선 안 된다”는 등의 강성 발언이 불거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시시비비를 가리지 말라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정권 초기부터 내 갈 길을 가겠다고 독불장군식으로 나서는 정권치고 제대로 되는 정권을 본 적이 없다. 이 점에선 바로 앞의 이명박 정권이 반면교사다. 박 당선인은 야당 후보에게 표를 찍은 1470만 유권자의 마음을 먼저 헤아리는 자세로 대야 관계에 정성을 쏟길 바란다.

야당 역시 박근혜 정부에 대해 비타협적으로 발목 잡기만 할 일은 아니다. 국민은 이번 대선에서 야당에 더욱 책임 있고 안정감 있는 수권능력을 주문했다. 야당이 선명 투쟁만 하던 시대는 지났다.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반대할 것은 반대하는, 합리적이고 책임 있는 야당의 길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