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2.26 19:13 수정 : 2012.12.26 19:13

어제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에선 문용린 새 서울시교육감을 상대로 예정에도 없던 예산 관련 정책질의가 벌어졌다. 혁신학교 정책 등을 둘러싼 교육위와 문 교육감의 충돌 때문이었다. 예산 편성권을 가진 교육청은 내년도 혁신학교 추가 지정에 필요한 예산을 배정하지 않은 채 예산안을 제출했고, 심의 의결권이 있는 시의회 교육위 쪽에선 추가 지정 예산이 포함돼야만 예산안을 심의할 수 있다고 맞선 것이다. 이미 실험이 끝나고 안착하고 있는 혁신학교 정책에 평지풍파를 일으킨 서울시교육청에 유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문 교육감은 선거 과정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교육감이 바뀌면 학교 정책도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문 교육감이 밝힌 이유는 도저히 교육적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이념적이며 정치적이었다. “혁신학교는 전교조 교사들의 해방구이며, 전교조가 교육계를 장악하려는 음모”라는 얼토당토않은 주장이 그 근거였다. 혁신학교에 전교조 소속 교사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그 주역은 창의·인성 중심의 새로운 교육을 실천하려는 노·장·청 교사들의 열정과 의지다. 게다가 서울의 혁신학교는 전체 초·중·고교 1300여곳 가운데 61개교에 불과하고, 2014년까지 300개교로 확대하겠다는 게 고작이다. 이를 두고 해방구, 교육계 장악 음모 운운하는 건 잠꼬대나 다름없다.

학교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건 학생, 학부모, 교사 등 교육 3주체의 만족도다. 혁신학교 실험 2~3년 만에 학교 인근 주택의 전셋값이나 매맷값이 오를 정도로 학부모와 학생의 만족도는 높았다. 교사들도 틀에 박힌 성적지상주의 교육에서 벗어날 수 있어 교육적 열정을 회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교육청이 강제하지 않아도 혁신학교 지정을 희망하는 학교가 꾸준히 는 것은 이 때문이었다. 이런 사정을 조금이라도 헤아린다면, 문 교육감은 교육과 무관한 지지단체의 억지에 휘둘려선 안 될 것이다.

학생, 교사, 학부모의 입장에서 정책을 세우고 집행하기 바란다. 일단 정착하기 시작한 정책까지 흔들어 학교현장을 혼란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 경기도교육청은 내년부터 3년 계획으로 관내 2000여 초·중·고교에 혁신교육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목표는 문 교육감이 강조하는 행복교육이나 창의·인성교육과 다르지 않다. 어제 문 교육감이 한발 물러나 이미 심사가 이뤄진 학교에 대해서는 혁신학교 전환 절차를 밟겠다고 했다고 한다. 다행이다. 앞으로 좌우, 진보·보수를 떠나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데 분투하기 바란다. 혁신학교 정책은 그 시금석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