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용산참사 묵은 상처 치유해야 나아갈 수 있다 |
용산 참사가 발생한 지 어제로 꼭 4년 세월이 흘렀다. 용산 참사 4주기 범국민추모위원회는 어제 경기도 남양주시 모란공원 희생자 묘역을 찾아 숨진 이들의 넋을 위로하는 추모제를 열었다. 지난 19일엔 서울역 광장 추모대회에 앞서 사건 현장인 남일당 터를 찾아 희생자들을 기렸다.
용산 참사는 서울 용산구 한강로 남일당 건물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던 철거민을 경찰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옥상 망루에 불이 붙어 농성자 5명과 경찰특공대원 1명이 숨진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8명이 구속됐고 이 중 지난해 2명이 가석방됐을 뿐 6명은 아직 옥고를 치르고 있다.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구속자 석방 및 사면, 강제퇴거금지법 제정 등의 요구가 이어지고 있지만 4년이 지나도록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다.
용산 참사는 이명박 정부의 개발 위주 정책과 국가 폭력이 빚어낸 대참사였다. 2009년 1월20일 새벽 남일당 건물 위로 경찰의 컨테이너가 내려온 것은 철거민들이 망루에 오른 지 하루 만이었고, 김석기 서울지방경찰청장이 경찰청장으로 영전한 이튿날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명박 정부가 뉴타운 등 각종 개발사업을 성급하게 추진하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세입자 내쫓기가 횡행했다.
용산 참사는 아직도 그 실체적 진실이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현재진행형이다. 사법 절차는 마무리됐지만 검찰 기소 내용을 두고 숱한 의문점이 제기됐다. 용역 깡패들이 설치는 폭력적인 도심 재생 사업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용산은 진행형이다.
정권이 바뀌고 새 정부가 들어서면 자연스레 지난 정부 때의 묵은 상처를 치유하고 해소하는 계기가 된다. 용산 참사 역시 이명박 정부 4년 내내 곪을 대로 곪은 상처 중 하나다.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망루에 올랐다가 목숨까지 잃고 오랜 기간 감옥살이를 해야 하는 참극이 벌어졌으니 희생자와 그 가족들 처지에서 보면 억장이 무너질 일이다. 진압 과정에서 억울하게 숨진 경찰관의 희생 또한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우리 사회의 대통합을 이루려면 용산 참사를 외면할 수는 없다. 우리 사회에는 용산 참사를 보는 시선이 꼭 하나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이들의 상처를 그대로 둘 것인가. 희생자와 그 가족들의 한 맺힌 절규를 듣는 것으로부터 치유 작업은 시작돼야 한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가 무슨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 길만이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는 지름길이다.
용산참사 4주기 특집 미니다큐 ‘딸바보 테러리스트’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