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1.27 19:14 수정 : 2013.01.27 19:14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두 아들이 어떻게 어릴 적부터 거액의 재산을 소유하게 됐는지, 두 아들의 병역 면제 이유는 타당한 것인지 등 심상치 않은 의혹들이다. 국민이 납득할 소명이 이뤄지지 않으면 총리 자격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우선 김 후보자가 1993년 재산공개를 했을 때 20대 중반의 두 아들이 보유하고 있던 20억원대 부동산의 형성 과정이 석연찮다. 19억8741만원으로 신고한 서울 서초동의 단독주택(대지 674㎡·204평)은 1975년에 큰아들과 작은아들이 공동으로 구매했고, 1억6365만원인 경기도 안성의 임야(7만3388㎡·2만2239평)는 74년에 큰아들에게 명의가 옮겨졌다고 한다. 75년 당시 8살, 6살에 불과했던 아이들에게 할머니가 강남 땅을 사줬다는데 편법증여는 아닌지, 정상적인 증여라면 세금은 냈는지 의문이 꼬리를 문다.

특히 안성 땅의 경우, 김 후보자가 판사 시절이던 74년에 자신의 밑에서 일한 법원 직원 오아무개씨와 함께 직접 둘러보고 매입한 것이라고 <채널에이>가 보도하기도 했다. 보도가 사실이라면 판사가 법원 직원과 투자할 땅을 알아본 뒤 미성년자 아들을 내세웠다는 비판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김 후보자의 큰아들이 체중 미달로, 작은아들은 통풍으로 각각 병역을 면제받은 사실도 의문의 대상이다. 큰아들이 군 면제를 뜻하는 제2국민역(5급) 판정을 받은 89년에는 면제 기준이 ‘키 155㎝ 미만이거나 몸무게 41㎏ 미만’이었다. 키가 170㎝라면 체중이 45㎏ 미만이어야 가능했다. 그런데 지금의 큰아들에게서 당시의 면제 기준에 맞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증언과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작은아들의 통풍 역시 공교롭게도 불법적인 군 면제 사유의 단골메뉴다.

김 후보자에게 제기된 의혹들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인선 기준으로 제시했던 법치와 원칙,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등과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도 김 후보자는 속시원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은근슬쩍 뭉개려고 하거나 회피로 일관한다면 부정적 여론만 부채질할 게 분명하다. 김 후보자는 즉각 솔직하게 설명을 하는 것이 옳다.

박 당선인도 진상 확인에 각별한 관심을 쏟아야 한다. 총리 인선이라는 첫 단추를 제대로 끼우지 못할 경우 새 정부가 출범에서부터 도덕성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5년 전 이명박 정부가 내각을 구성하면서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강부자’(강남 땅부자) 논란으로 민심을 잃는 장면을 똑똑히 보지 않았는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